학술논문
돌외 잎의 기능성 진세노사이드 성분에 대한 추출 조건 최적화
이용수 6
- 영문명
-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Functional Ginsenosides in Gynostemma pentaphyllum Leaves
- 발행기관
- 한방비만학회
- 저자명
- 김도형 고준휘 이효진 정지훈 양병욱
- 간행물 정보
- 『대한한방비만학회지』제25권 제1호, 1~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s: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ginsenoside content in the leaves of Gynostemma pentaphyllum (Cucurbitaceae), under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As a dammarane triterpene-type derivative, G. pentaphyllum contains ginsenosides similar to those in ginseng, making it a potential source for herbs as functional food ingredients with anti-obesity effects.
Methods: Ginsenosides were isolated from G. pentaphyllum extracts using both water and ethanol at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duration. Water extractions were performed at 100 ℃ for 10 and 24 hours. Solvent extractions used 50%, 70%, and 95% ethyl alcohol.
Ginsenoside contents were analyzed in each extract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ults: Water extraction of G. pentaphyllum leaves at 100 ℃ for 24 hours (GPW-24) showed the highest total content of ginsenoside. However, 10-hour extraction (GPW-10) was yielded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ginsenoside Rh1 (0.886%) and Rc (0.566%).
In solvent extraction, total ginsenosides were highest in 95% ethanol, and were followed by 50%, 70%, and water. Ginsenoside Rc was abundant in both 95% (4.745%) and 50% ethanol (4.769%) extracts.
Conclusions: The optimal water extraction condition for obtaining functional ingredients is 10-hour extraction at 100 ℃. The best solvent extraction condition is using 95% ethanol, suggesting effective strategies for utilizing G. pentaphyllum in functional herbal ingredients with anti-obesity effects.
영문 초록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한의학분야 BEST
- 제왕절개 수술이 신생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장내 미생물을 중심으로
- 소아 화폐상 습진의 임상 특성과 통합적 치료 접근에 대한 고찰
- 영아 야제의 다빈도 한의 변증, 임상 증상 및 한의치료 분석 - 최근 5개년(2019-2024) 중의학 연구를 중심으로
의약학 > 한의학분야 NEW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3호 목차
- 朝鮮에서 現代까지 韓醫學 敎育 變遷에 대한 역사적 의미 고찰과 전망: 原典 교육을 중심으로
- 한문의서의 한글번역 연구 - 더 나은 번역을 위한 對譯語 선정에 대하여 『온열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