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3D Restoration of Joseon Dynasty Human Bones and Digital Human Creation Research : Focusing on the Creation Process of
- 발행기관
-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 저자명
- 이용규(Yong Gyu Lee)
- 간행물 정보
- 『지식과 교양』제16호, 143~17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선시대 인골을 기반으로 디지털 휴먼을 제작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3D 스캔 기술과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하여 인골의 원형을 정밀하게 복원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도로 사실적인 디지털 휴먼을 제작하였습니다. 연구 대상은 서울 은평 뉴타운 진관동 분묘군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인골로, 고해상도 3D 스캔과 Zbrush, Unreal Engine의 MetaHuman Creator를 사용하여 복원 작업을 수행했습니다. 제작된 디지털 휴먼은 역사적 인물의 외모와 움직임을 생생하게 재현하며, 교육적 및 문화적 활용 가능성을 탐구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디지털 휴먼은 문화유산의 보존과 교육적 활용에 있어 혁신적인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AI 기술과의 결합 전 단계까지의 과정을 제시하였습니다. 특히, 디지털 휴먼 제작과정에서 언리얼엔진과 메타휴먼 크리에이터를 활용하여 제작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접근은 전통적인 수작업 복원 방식에 비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원본 유물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정확한 복원이 가능함을 보여주었습니다.
본 연구는 디지털 헤리티지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디지털 휴먼을 활용한 교육 콘텐츠는 학생들과 일반 관람객들에게 역사적 인물과 사건을 생동감 있게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디지털 복원 기술은 문화유산의 보존, 기록, 관리, 전시 및 보급에 혁신적인 방법을 제시하며, 미래 세대에 과거의 지혜와 문화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vers the process of creating a digital human based on skeletal remains from the Joseon Dynasty. Utilizing 3D scanning technology and computer graphics, the original form of the skeleton was precisely restored, leading to the creation of a highly realistic digital human.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he skeletal remains from the Joseon Dynasty excavated from the Jin-gwan-dong tombs in Eunpyeong New Town, Seoul. The restoration work was performed using high-resolution 3D scans, Zbrush, and Unreal Engine's MetaHuman Creator. The produced digital human vividly reproduces the appearance and movements of historical figures, exploring its educational and cultural applications.
The study found that digital humans have the potential to serve as innovative tools in the preservation and educational use of cultural heritage. The process up to the integration with AI technology was presented. The use of Unreal Engine and MetaHuman Creator especially improved convenience and efficiency in the digital human production process. This technological approach showed that accurate restoration is possible without damaging the original artifacts, compared to traditional manual restoration methods, saving time and cost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heritage field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Educational content utilizing digital humans can vividly convey historical figures and events to students and general audiences, maximizing educational effects. Furthermore, digital restoration technology is expected to play a crucial role in preserving, recording, managing, displaying, and disseminating cultural heritage, presenting innovative methods for transmitting the wisdom and culture of the past to future generations.
목차
1. 머릿말
2.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3. 디지털 휴먼 제작과정
4. 활용사례와 활용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령사회에서의 대학 역할 재정립에 대한 소고 : 고령친화대학(AFU) 관점에서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공유대학 학습자의 ESG 수업 기대 분석 : 대학 e-러닝 기반 학점인정 컨소시엄 사례를 중심으로
- 학생 참여형 말하기 수업 설계와 교육 효과
- 심리학과 문화예술을 접목한 체험교육형 창의융복합 교양교과 개발 방법 및 과정 연구 :비고스키(Vygotsky)의 사회문화이론을 기반으로
- 인문교양을 위한 대학 글쓰기 수업 방안 : 문학작품을 연계한 글쓰기를 중심으로
- WAG1 과다발현에 의한 애기장대 유식물 뿌리의 굴곡 생장 및 측근 형성 억제
- 영향력 있는 도시이미지인자로서 랜드마크 명명의 세련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시애틀 스페이스니들과 서울 엔서울타워 명명에 대한 시민 의견을 중심으로
- 중국 민족민간무용 멜대춤(扁擔舞)의 전승 현황 연구 : 광서성(廣西省) 가방(加方)중학교를 중심으로
- AI 시대 중년의 디지털 시민성 탐색
- 대학생 셀프리더십 강화를 위한 문학 독서 교육 방안 : 『데미안』, 『싯다르타』를 중심으로
- 학위 과정 유학생의 접촉 지대에 관한 일고찰
- 시 이미지에 대한 영화적 이해 : 정지용의 「카ᅋᅦ·ᅋᅳ란스」와 김광균의 「夜車」 를 대상으로
- 조선시대 인골의 3차원 복원과 디지털 휴먼 제작 연구 : <조선인 이첨지>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 청소년 철학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립맨(Lipman, M.)의 다차원적 사고 접근방식을 중심으로
-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실존주의적 고찰 : 만드는 교육에서 만나는 교육으로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학강의 디지털화 : 온라인 협업도구를 중심으로
- 이공계열 전공 전문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 노인의 저작기능과 삼킴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연구 : 영향 요인과 상관성 분석
- 지식과 교양 제16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세계 제7권 4호 목차
- 고대 러시아위경에 나타난 ‘천국’의 개념 연구 : 성경텍스트의 대조를 통해
- ‘MZ세대’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성산별곡>, <고공가>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