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중간언어 연구 - 통사 복잡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1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terlanguage of Married Immigrant Women : A Focus on syntactic complexity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주월랑(Woalrang Ju)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4권 제3호, 313~34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급과 중급에 속하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쓰기 자료를 수집하여 통사 복잡성을 측정하고 그 후 대학기관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통사 복잡성을 측정한 선행 연구들과의 비교·분석을 통해서 초급과 중급에 속하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통사 복잡성은 어느 정도 발달되고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그 후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통사 복잡성의 각각의 지표들을 학습자 변인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먼저 통사 복잡성을 문장 길이, 문장 확장, 문장 확장 유형으로 범주화하여 각각 범주에 맞는 통사 복잡성 측정의 지표를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당연히 숙달도가 향상되면서 문장 길이뿐만 아니라 문장 확장에서도 양적으 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중간언어는 발달하고 있었다. 그러나 문장 확 장에 관여하는 문법 항목에서 숙달도에 따른 차이가 존재했으나 중급에서 사용하고 있는 문법 항목은 국제통용에서 제시한 문법 항목과 비교했을 때 초급 단계에 머물러 있었다. 즉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숙달도가 상승되면서 문장 길이는 분명히 길어지고 있으나 다양한 문법을 사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숙달도에 따라 대등접속지수(CI)가 낮아지는 일반적인 경향과 달리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상반된 결과를 가져왔는데, 이는 언어 습득 환경의 차이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학습자 변인(거주기간, 학습기간)은 통사 복잡성을 측정한 모든 지표들과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대등접속지수(CI)와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그동안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중간언어가 오류 분석에만 치우친 시각에서 벗어나 자연적 습득 환경에서 통사 복잡성의 발달이 어떻게 발달되고 있는지를 간략하게나마 살펴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 자연적 습득 환경에서 통사 복잡성만이 아닌 다양한 역에서도 중간언어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syntactic complexity and language proficiency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is study also discuss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dex measuring syntactic complexity and learner variable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ategorize the length of sentences, sentence extensions, and sentence extension types in order to measure syntactic complexity. Thu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ablish a proper index for each category.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was discovered that both sentence length and extension increased quantitatively according to improvements in proficiency. However, there was a limitation in utilizing various forms of grammar in sentence extensions. Differing from the general tendency of the equality index to decrease along with improvements in proficiency, married immigrant women showed the opposite result. This study determined that the difference was a result of the language acquisition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roficiency of married immigrant women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all indexes that measured syntactic complexity. However, the residence and learning periods for language did not display significant results on the equality index. Lastly,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it critically reviewed biased viewpoints present in other research studies, which focused on the interlanguage error analysis of married immigrant women rather than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interlanguage along with proficiency based on the concept of complexity.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 자료 및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주 노동자를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 한국 현대시 읽기에서 나타난 학습자들의 반응양상 연구 - 독자반응 이론을 중심으로
- A Pedagogical Study on Understanding of ‘Shinmyoung’(神明) in Modern Korean Novels for Foreign Learners : Based on A. N. Whitehead’s Creativity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지역어 교육 연구 - 드라마를 활용한 듣기 수업 사례를 통해
-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대한 연구 - 대한민국 정부초청대학원장학생을 중심으로
- 취학 전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국 한글학교의 교육 자료 개발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 한국 정부초청 아제르바이잔 장학생의 학업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학교교육과 한국언어문화 교육의 쟁점과 과제
-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중간언어 연구 - 통사 복잡성을 중심으로
- 유학생 대상 한국어 스토리텔링 기반 수업 사례 연구
-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피동 대조 연구
- 신문 텍스트의 주제 영역별 장르성에 따른 연결어미 사용 양상 분석
-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공손성 및 거절 화행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