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피동 대조 연구
이용수 5
- 영문명
- A Contrastive Study between the Passive Form of Modern Mongolian and Korean [For Korean Learners of Mongolia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김기성(Kis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4권 제3호, 91~11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대몽골어의 ‘피동(被動, passive)’에 대한 유형 및 구성, 그의 의미, 기능 등을 정리해 살펴보고, 이후 이를 기준으로 여기에 대응 가능한 한국어 ‘피동’과 서로 대조 분석해 보았다. 또한 이러한 대조 분석을 통해 이들이 서로 어떠한 유사점과 차이점 등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며, 현대몽골어와 한국어 두 언어의 학습자들에게 담화, 문맥 등의 상황에서 매우 중요하게 나타나는 피동의 올바른 사용법과 이를 위한 기초자료 등을 함께 제시해 보았다.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피동은 행위를 누가 수행했는지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무엇이(어떤 행위가) 수행되었는지를 가리키며, 능동 행 위주는 여·처격어미 ‘-д/т’(몽골어), ‘-에게, -에 의해(서)’(한국어)로 구성된다는 유사점을 갖는다. 한편, 한국어의 피동(피동 표현, 피동법) 은 일반적으로 1)‘되다’, ‘당하다’와 같은 어휘를 써서 피동문을 만드 는 방식인 ‘어휘적 피동’, 2)‘-이-, -히-, -리-, -기-’와 같은 파생접미사를 동사 뒤에 붙이고, 목적어를 주어로 그리고 주어를 ‘-에게, -에 의해 (서)’ 형태의 부사(부사어)로 바꾸는 방식인 ‘파생적 피동’, 3)‘-아/어지 다, -게 되다’와 같은 통사적 구성 형태를 동사 뒤에 붙여서 피동문을 만드는 방식인 ‘통사적 피동’등으로 비교적 세분화되어 있는 반면에 현대몽골어의 피동은 ‘-гд, -д, -т’와 같은 형태의 피동 접사를 동사의 어간에 연결해 피동의 의미를 표현하는 파생적 피동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한국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양하지 못하다는 차이점을 갖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composition, meaning, and function of the passive form(被動) of the modern-day Mongolian language, and analyzes it by comparing with the passive form of the Korean language.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passive form of the contemporary Mongolia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indicates the activity that is performed, but not the performer of the activity. Both languages have similar features in that the active forms of sentences are composed of endings of words, such as “-д/т” (Mongolian), “-ege[-에게]”(to whom-), “-e euhaeseo[-에 의해서]”(by whom) (Korean). The passive forms of contemporary Mongolian and Korean languages are generally similar in terms of usage. Particularly, the object of active sentences become a subject, and the subject of active sentences changes into an adverb of passive sentences. The object of active sentences becomes the subject of passive sentences, combined with a subjective proposition “-yi/ga[-이/가]”(Korean), “∅”(Mongolian), and the subject of passive sentences becomes an adverb, combined with “-ege[-에게]”(to whom-), “-e euhaeseo[-에 의해서]”(by whom) (Korean), and “-д/т” (Mongolian). The Korean language’s passive form can be relatively categorized into three kinds: (1) “language passive form” — here the passive forms of sentences are formed by using words like “doeda[되다]” and “danghada [당하다]”. (2) “derivative passive form” — here the passive forms of sentences are formed by adding a derivative ending of a word, such as “-yi-[-이-],” “-hi-[-히-],” “-ri-[-리-],” and “-gi-[-기-]” to the end of a verb. Additionally, the object changes into a subject and the subject into a verb like “-ege[-에게],” and “-e euhaeseo[-에 의해서]”. (3) “syntactic passive form” — the passive sentences are formed by adding syntactic compositional forms, such as “-ah/eo jida[-아/어 지다]” and “-ge doeda[- 게 되다]” to the end of a verb. Meanwhile, the passive sentences of modern-day Mongolian language are in general derivative passive form, which expresses passivity by connecting passive affixes like “-гд,” “-д,” and “-т” to a word stem. Therefore, the Mongolian language differs from the Korean language in that it is not that diverse.
목차
1. 서론
2. 현대몽골어의 피동
3.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피동 대조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주 노동자를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 한국 현대시 읽기에서 나타난 학습자들의 반응양상 연구 - 독자반응 이론을 중심으로
- A Pedagogical Study on Understanding of ‘Shinmyoung’(神明) in Modern Korean Novels for Foreign Learners : Based on A. N. Whitehead’s Creativity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지역어 교육 연구 - 드라마를 활용한 듣기 수업 사례를 통해
-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대한 연구 - 대한민국 정부초청대학원장학생을 중심으로
- 취학 전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국 한글학교의 교육 자료 개발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 한국 정부초청 아제르바이잔 장학생의 학업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학교교육과 한국언어문화 교육의 쟁점과 과제
-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중간언어 연구 - 통사 복잡성을 중심으로
- 유학생 대상 한국어 스토리텔링 기반 수업 사례 연구
-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피동 대조 연구
- 신문 텍스트의 주제 영역별 장르성에 따른 연결어미 사용 양상 분석
-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공손성 및 거절 화행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