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문 텍스트의 주제 영역별 장르성에 따른 연결어미 사용 양상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f the Use of Connective Endings Based on Genre Factors Thematically Expressed in Newspaper Text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김혜진(Hyejin Kim)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4권 제3호, 113~14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신문 코퍼스를 대상으로 글의 장르성과 관련된 연결어미의 사용 양상에 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세종 코퍼스의 신문 텍스트를 사설, 사회, 스포츠의 주제 영역별로 구분하여 이 텍스트에 나타난 94개 연결어미 항목의 빈도를 작성하였다. 다음으로 카이제곱 검증과 대응분석을 실시하여 두 분석의 교집합에 해당하는 16개 어미를 각 주제 영역에 대응되는 어미로 선정하였다. 이 어미들이 코퍼스에 쓰인 문장을 살펴본 결과 각 주제 영역별로 주장하기, 설명하기, 묘사하기의 장르성이 나타나는 양상에 차이가 있었고 이와 관련된 필자의 의도에 따라 각기 다른 의미의 연결어미가 선택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한국어 교육의 주된 교육 대상인 연결어미를 교수할 때 이와 같은 장르적 쓰임을 함께 제시하는 것은 학습자들이 연결어미를 실제적인 사회적 과정의 도구로 이해하고 사용하도록 하는 데에 유용한 교육 내용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re of newspaper articles and the frequency with which particular connective endings are used in the articles’ text. The results could help foreign language learners understand how connective endings are used in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nd how to use these connective endings in social interactions. The study hypothesized that the frequency with which connective endings appear will vary according to the article’s genre factors. The section in which a newspaper article appears—such as opinion, society, or sports—was used to define its topic and genre factors. In order to verify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connective endings by article topic, a statistical survey, a Chi-square test, and a correspondence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ir frequency in the Sejong Corpus. The findings show that, of the 94 connective endings that appear in newspaper text, 16 are used more frequently in particular topical sections of newspapers. By examining sample sente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these connective endings and the genre factors of newspaper text was determined.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및 대상
3. 연결어미의 주제 영역별 특성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진(Hyejin Kim). (2017).신문 텍스트의 주제 영역별 장르성에 따른 연결어미 사용 양상 분석. 한국언어문화학, 14 (3), 113-146

MLA

김혜진(Hyejin Kim). "신문 텍스트의 주제 영역별 장르성에 따른 연결어미 사용 양상 분석." 한국언어문화학, 14.3(2017): 113-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