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Korean Storytelling-based Classes for Foreign Student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구민지(Minji Koo) 김원경(Wongy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4권 제3호, 29~5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기반 수업을 설계하여 이를 실제 외국인 유학생 대상 수업에 적용하고 수업에서 생산된 학습자의 결과물을 분석하여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유용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 주도로 교재의 내용을 학습하고 스토리텔링 과제를 제시하면 이를 학습자가 이해하고 스토리를 만든 후 발표하는 과정으로 스토리텔링 기반 수업을 설계하고 한국어 숙달도 별로 3회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필요에 따라 학습자들의 상호작용과 구두 발표를 녹음하고 전사하였으며 학습자의 스토리 작문과 발표 자료로 활용한 그림도 모두 연구 자료로 확보하였다. 이야기 문법을 기준으로 학습자가 생산한 스토리를 분석해 본 결과 초급 학습자들은 스토리 구성에는 다소 부족함을 보였으나 인간 공존 및 환경 개선 등의 가치관을 드러내었으며 중급 학습자들도 가치관을 공유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급 학습자들은 전반적으로 지구 생명체의 지속가능한 공존을 목표로 하여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했고 개연성 있고 독창적인 스토리를 구성해 내었다. 유학생을 대상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한 결과, 학습자들은 과제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면서 매우 적극적이고 활발하게 소통하였다. 한국어로 표현하는 능력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서로의 가치관에 대해 생각하며 공감대를 형성하고 사고의 폭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utility of storytelling by implementing storytelling methods in a class designed for foreign students and examining their outcomes. In order to establish such a class, certain steps were required. First, students needed to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from textbooks selected by an educator. Accordingly, the stories were compiled through analyzing ‘story grammar’.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in the beginner level had problems with composition structures. However, students in both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s were able to share opinions regarding topics on the coexistence of human and nature, ultimately suggesting 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In the advanced level, in general, students competently completed tasks concerning sustainable coexistence. Their overall performances were not only persuasive but also creative. This suggests that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 in activities by offering their experiences and knowledge to solve designated problems. Applying general education methods enabled foreign students who were not yet fully accustomed to communicating in Korean to share opinions and extend cogitation.
목차
1. 들어가며
2. 기존 논의
3. 스토리텔링 기반 수업 사례
4.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취학 전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국 한글학교의 교육 자료 개발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공손성 및 거절 화행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중간언어 연구 - 통사 복잡성을 중심으로
- 신문 텍스트의 주제 영역별 장르성에 따른 연결어미 사용 양상 분석
- 학교교육과 한국언어문화 교육의 쟁점과 과제
-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피동 대조 연구
- 한국 정부초청 아제르바이잔 장학생의 학업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A Pedagogical Study on Understanding of ‘Shinmyoung’(神明) in Modern Korean Novels for Foreign Learners : Based on A. N. Whitehead’s Creativity
- 이주 노동자를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대한 연구 - 대한민국 정부초청대학원장학생을 중심으로
- 유학생 대상 한국어 스토리텔링 기반 수업 사례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지역어 교육 연구 - 드라마를 활용한 듣기 수업 사례를 통해
- 한국 현대시 읽기에서 나타난 학습자들의 반응양상 연구 - 독자반응 이론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사고 개발 가능성: 영화 ‘미키17’과 봉준호감독의 인간 이해와 창작 철학을 중심으로
- 조직공정성이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사무량심에 기반한 유아기 부모 양육 경험의 해석현상학적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