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 Pedagogical Study on Understanding of ‘Shinmyoung’(神明) in Modern Korean Novels for Foreign Learners : Based on A. N. Whitehead’s Creativity

이용수  2

영문명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나채근(Chae Kun Ra)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4권 제3호, 147~17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어 고급학습자를 대상으로 소설 읽기와 쓰기를 통해 신명문화 이해 교육에 접근하고 있다. 한국에는 한국고유의 정신적 · 정서적 문화로서 풍류정신문화가 있다. 풍류정신문화는 한국 민족이 기원했던 시대의 제천의식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오랜역사를 거쳐 한민족과 함께한 정신문화였다. 특히 풍류문화의 주요 속성인 신명은 한국인의 특유한 정서 형태로서 다른 민족과 차이화되면서 독특한 창조적 성격을 형성해왔다. 흥미로운 것은 이러한 신명의 창조적성격이 화이트헤드의 창조성 개념과 그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 우주를 구성하는 현실적 존재자가 다수성으로 존재하며 일자를 만드는 과정에서 생성해내는 창조적 성질을 우리는 신명문화에서 엿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또한 외국인 학습자들로 하여금 한국 단편소설을 읽고 감상문을 쓰게 함으로써 신명의 요소를 찾고 토론하도록 하였다. 그들은소설을 읽고 감상문을 쓰는 과정에서 오류를 겪기도 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신명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이르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신명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하는 동시에 비교문학적 · 문화적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자 본국의 문화에 대한 이해도 심화시킴으로써 문화 상호 간이해와 조화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s on Understanding of Shinmyoung in Modern Korean Novels for Foreign Learners. There is the Pungryu Spiritual Culture which encapsulates the collective spiritual and emotional energy of the Korean people in Korea. It is said to have its origins in ancient harvest ceremonies, and to have preserved Korean art forms related to traditional dances, Gut, Sinawi and Sanjo, Pansori, etc.. Especially Shinmyoung, the major property of Pungryu Spiritual Culture, is a Koreans’ specular emotion which has formed its creative characteristic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countires. It is interesting that this Shinmyoung shares the creative characteristic with Whitehead’s philosophy of organism . The common ground between Shinmyoung and Whitehead’s Philosophy of Organism is that they both emphasize novelty and creativity in the ongoing process of change and creation. It holds the perspective that creation and process itself should be regarded as ‘real’, in contrast with the views of Substance Philosophies that regard an unchanging, permanent thing as real. In particular the Korean Shinmyoung is a kind of unconscious energy which arises at the moment of transcending a fixed routine or formality, thereby expressing inherent mental and emotional feelings, and producing creative vitality. This study also formed the foundation of a thinking and discussion course for foreign students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Shinmyoung, while reading modern Korean novels such as 『독 짓는 늙은이』, 『금당벽화』, 『무녀도』, 『선학동 나그네』, which concretely describe and actualize the characteristics of Shinmyoung. Through reading, dialogue, and discussion students were able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mprove their thought and cognition, and develop a logical and critical understanding of Shinmyoung. In fact, some foreign stu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able to understand more about Korean Shinmyoung. Through the extension of their thought and cognition of culture, obtained by comparing Korean Shinmyoung with that of their own nations, they were also able to acknowledge the singularity and universality of each nation’s culture and gain a deeper intercultural perspective.

목차

1. Introduction
2. Shinmyoung of Pungryu Spiritual Culture
3. Shinmyoung and Whitehead’s Creativity
4.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나채근(Chae Kun Ra). (2017).A Pedagogical Study on Understanding of ‘Shinmyoung’(神明) in Modern Korean Novels for Foreign Learners : Based on A. N. Whitehead’s Creativity. 한국언어문화학, 14 (3), 147-172

MLA

나채근(Chae Kun Ra). "A Pedagogical Study on Understanding of ‘Shinmyoung’(神明) in Modern Korean Novels for Foreign Learners : Based on A. N. Whitehead’s Creativity." 한국언어문화학, 14.3(2017): 147-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