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공손성 및 거절 화행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Politeness and Refusal Speech Act Realization by Russ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이용희(Younghee Yi)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4권 제3호, 287~31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공손 표현 양상과 거절 화행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조사를 거쳐, 본 조사는 2017년 4 월 24일부터 7월 3일까지 한국어 모어 화자 50명과 러시아어권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어 모어 화자의 경우 상황별 공손성 양상에 대하여 ‘상대의 이야기를 잘 들어준다’가 16명(35.6%)으로 가장 높았으나, 러시아어권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 ‘다른 사람의 감정을 생각’, ‘사람마다 의견이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 ‘대상에 따라 존댓말을 잘 사용하는 것’ 각각 11명(33.3%)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절 화행 전략 유형과 공손성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러시아어권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 이유제시와 사과표시의 비율이 높고, 직접거절의 비율이 높았다. 반면에 한국어 모어 화자의 경우 거절 화행 전략 유형과 공손성 간의 관계는 유의한 차이가 있어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공손 및 거절 화행은 상대방이 누구인지, 대화의 주제는 무엇인지 등을 모두 알맞게 파악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통해 거절 전략에 대한 명시적 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은 거절해야 하는 상황과 그에 맞게 사용해야 되는 전략에 대한 구사를 확실하게 자각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절 전략과 그것을 구현하는 거절 표현 습득의 차이를 좁히고 이 두 가지 개념을 통합하여 지도 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polite expression patterns and refusal expressions among student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in Russia. After a preliminary test, a survey was conducted on 50 native Korean speakers and 50 Russian students learning Korean in middle- and high-level classes from April 24 to July 3, 2017.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number of native Korean speakers who pointed out that politeness is “to listen carefully to what others are saying” was 16 (35.6%), the highest ratio. However, 11 Russian students (33.6%) responded positively to each of the following survey items: politeness is “to consider the emotions of others,” “to recognize that different people have different opinions,” and “to use polite expressions depending on the other person.” Additionally,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refusal expression strategies and politeness, Russian students tended to suggest reasons for refusal, apologize for their refusal, and were more likely to directly refuse.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ypes of refusal expression strategies and politeness among native Korean speakers. This means that these two aspects are related. The above findings imply that politeness and expressions of refusal should require consideration of not only who the other party is but also what the subject of dialogue is. As a result of this finding, through explicit learning about refusal strategies, students have clearly recognized the situations in which they should refuse and the proper strategies to be used therei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narrow the gap between refusal strategies and refusal expression learning and to guide students by combining these two thing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주 노동자를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 한국 현대시 읽기에서 나타난 학습자들의 반응양상 연구 - 독자반응 이론을 중심으로
- A Pedagogical Study on Understanding of ‘Shinmyoung’(神明) in Modern Korean Novels for Foreign Learners : Based on A. N. Whitehead’s Creativity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지역어 교육 연구 - 드라마를 활용한 듣기 수업 사례를 통해
-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대한 연구 - 대한민국 정부초청대학원장학생을 중심으로
- 취학 전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국 한글학교의 교육 자료 개발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 한국 정부초청 아제르바이잔 장학생의 학업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학교교육과 한국언어문화 교육의 쟁점과 과제
-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중간언어 연구 - 통사 복잡성을 중심으로
- 유학생 대상 한국어 스토리텔링 기반 수업 사례 연구
-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피동 대조 연구
- 신문 텍스트의 주제 영역별 장르성에 따른 연결어미 사용 양상 분석
-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공손성 및 거절 화행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