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parse group lasso를 활용한 서울 초ㆍ중등교사의 교사효능감 예측변인 탐색: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이용수 111
- 영문명
- Exploring predictors of teacher efficacy amo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eoul using Sparse group lasso: focusing on differences across school level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백수진(Sujin Baeg) 김욱일(Ukil Kim) 박현정(Hyun-Jeong Park) 이영인(Youngin Lee)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7권 제3호, 579~60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사 전문성의 핵심 요인 중 하나인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내재적 동기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학교적응을 돕는다. 그러나 우리나라 교사들의 효능감은 전 세계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여건 조성 및 정책적 지원을 위해 교사효능감의 하위영역을 교수전략, 생활지도, 학습동기부여 세 가지로 구분하여 하위영역별 예측변인을 탐색하였다. 또한, 초등교사와 중등교사는 학교 내 담당 업무 및 역할에 있어 차이가 있을 것이라 보고, 학교급을 구분하여 교사효능감 예측변인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교원종단연구 2020의 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벌점회귀모형 중 변인 그룹 단위 선택과 개별 변인 선택을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예측변인을 탐색하는 Sparse group lasso 분석을 적용하였다. 학교급별, 교사효능감의 하위영역별 예측변인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사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eacher efficacy, a key factor in teacher professionalism, enhances both teachers’ intrinsic motivation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However, the level of teacher efficacy in Korea is among the lowest in the world. In order to create conditions and provide policy support to increase teacher efficacy, this study categorized teacher efficacy into three subdomains: teaching strategies, life guidance, and learning motivation. It explored the predictors of each subdomain, distinguishing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due to their different tasks and roles. To this end, we applied Sparse group lasso regression analysis, which explores predictors by considering both group and individual variable selection in a penalized regression model. We used data from the first year of the Seoul Teacher Longitudinal Study 202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dictors of teacher efficacy varied by school level and sub-domain of teacher efficacy.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acher efficacy were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적시간워핑 거리에 기반한 온라인 학습행동의 시계열 군집분석
- 한국과 미국 교사의 개별화 및 디지털 활용 수업 특성 및 영향 요인 분석
- 다양한 군집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기반 군집분석 사례
-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고등학생 창의성 주요 예측변인 탐색: 랜덤 포레스트와 SHAP 적용
- Sparse group lasso를 활용한 서울 초ㆍ중등교사의 교사효능감 예측변인 탐색: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종단연구에서 공변량을 활용한 이질적 하위그룹 탐색 방법 비교
- 2단계 층화군집 계통표본추출 설계 사례: 학생맞춤지원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 고등학교 내신 평가의 성적 과대평가 가능성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기반 실증적 방안 탐색
- 수학교과에서 정의적 태도의 잠재계층에 따른 사교육 참여가 수업참여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Manual BCH 3-Step을 적용하여
- XGBoost를 활용한 일반고 고등학생의 자기관리역량 예측 요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