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적시간워핑 거리에 기반한 온라인 학습행동의 시계열 군집분석
이용수 93
- 영문명
- Time-Series Clustering for Exploring Patterns of Online Learning Behavior Based on Dynamic Time Warp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김민정(Minjung Kim) 이현숙(Hyun Sook Yi)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7권 제3호, 551~57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관찰되는 아동의 학습행동을 시계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동적시간워핑 거리에 기반한 시계열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아동 대상 영어 e-book 학습 시스템의 로그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학습행동 패턴의 유형을 토대로 도출된 군집별 학습자들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로그데이터의 시계열적 특징을 반영하지 않은 일반 군집분석과 시계열 군집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속적인 시계열 상의 학습행동 변화량에 주목한 전처리 과정을 통해 개인 변동성을 반영한 학습행동의 시계열적 패턴을 군집화한 결과, 학습 단계 이수율이 ‘평일에 높은’ 집단, ‘지속적으로 낮은’ 집단, ‘매우 분산된’ 패턴을 보이는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학습행동 수준이 지속적으로 저조한 집단과 분산된 집단 간에 학습 시간 및 성과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월 평균 학습행동의 군집분석 결과와 비교를 통해 시계열 정보의 손실 측면에서 이러한 접근의 유의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학습행동이 실시간으로 기록되는 로그데이터의 처리 및 분석에 있어서 대안적 방법의 필요성과 방법론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time-series clustering analysis based on dynamic time warping distance to understand learners’ behaviors observed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We used log data from an English e-book learning system and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in clusters derived from the analysis. Additionally, we compared the results of our analysis with those of aclustering analysis that did not reflect the time-series information of the log data.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a preprocessing process that focuses on the fluctuations in learning behavior observed over continuous time-series, we identified time-series patterns of learning behavior reflecting individual variability: one with high completion rates on weekdays, another with consistently low performance, and a third group exhibiting highly distributed patterns. Seco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time and performance were found between the consistently low-performing group and the distributed group. Third, by comparing the clustering results with those obtained from the monthly average learning behaviors, the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is approach in terms of information reten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the need for alternative methods and methodological implications in processing and analyzing log data, where online learning behaviors are recorded in real-tim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적시간워핑 거리에 기반한 온라인 학습행동의 시계열 군집분석
- 한국과 미국 교사의 개별화 및 디지털 활용 수업 특성 및 영향 요인 분석
- 다양한 군집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기반 군집분석 사례
-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고등학생 창의성 주요 예측변인 탐색: 랜덤 포레스트와 SHAP 적용
- Sparse group lasso를 활용한 서울 초ㆍ중등교사의 교사효능감 예측변인 탐색: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종단연구에서 공변량을 활용한 이질적 하위그룹 탐색 방법 비교
- 2단계 층화군집 계통표본추출 설계 사례: 학생맞춤지원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 고등학교 내신 평가의 성적 과대평가 가능성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기반 실증적 방안 탐색
- 수학교과에서 정의적 태도의 잠재계층에 따른 사교육 참여가 수업참여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Manual BCH 3-Step을 적용하여
- XGBoost를 활용한 일반고 고등학생의 자기관리역량 예측 요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