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교과에서 정의적 태도의 잠재계층에 따른 사교육 참여가 수업참여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Manual BCH 3-Step을 적용하여
이용수 56
- 영문명
-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 on Class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Latent Classes of Affective Attitudes in Mathematics: Using the Manual BCH 3-Step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송효섭(Hyo Seob Song) 정희선(Hee Sun Jung)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7권 제3호, 499~52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경기교육종단연구(GEPS)가 수집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Manual BCH 3-step 방법을 적용한 결과, 수학 정의적 태도의 잠재계층 간 수학 수업참여와 학업성취도의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사교육 참여가 수학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이 잠재계층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수학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사교육 참여가 모든 잠재계층에서 일관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수학 정의적 태도의 잠재계층 간 수업참여와 학업성취도의 차이 및 사교육 참여의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수학 수업과 수학교사의 역할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sing survey data from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2015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applied the Manual BCH 3-step method and confirm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h class engagement and math academic achievement among latent classes of math affective attitudes. Additionally,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 on math class engagement varied by latent class, being either positive or negative, while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 on math achievement was consistently positive across all latent classes.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class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latent classes of math affective attitudes and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math classes and the role of math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적시간워핑 거리에 기반한 온라인 학습행동의 시계열 군집분석
- 한국과 미국 교사의 개별화 및 디지털 활용 수업 특성 및 영향 요인 분석
- 다양한 군집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기반 군집분석 사례
-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고등학생 창의성 주요 예측변인 탐색: 랜덤 포레스트와 SHAP 적용
- Sparse group lasso를 활용한 서울 초ㆍ중등교사의 교사효능감 예측변인 탐색: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종단연구에서 공변량을 활용한 이질적 하위그룹 탐색 방법 비교
- 2단계 층화군집 계통표본추출 설계 사례: 학생맞춤지원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 고등학교 내신 평가의 성적 과대평가 가능성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기반 실증적 방안 탐색
- 수학교과에서 정의적 태도의 잠재계층에 따른 사교육 참여가 수업참여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Manual BCH 3-Step을 적용하여
- XGBoost를 활용한 일반고 고등학생의 자기관리역량 예측 요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