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과 미국 교사의 개별화 및 디지털 활용 수업 특성 및 영향 요인 분석
이용수 101
- 영문명
- Teachers’ cluster in personalized and ICT-based instruction in Korea and the USA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신안나(Anna Shin) 김혜숙(Hyesook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7권 제3호, 635~66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교사의 개별화 및 디지털 활용 수업의 양상을 비교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PISA 2018 데이터를 활용하여 교사의 개별화 및 디지털 활용 수업에 대한 K-평균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개별화 고수준, 디지털 고수준’(한국 10.9%, 미국 51.0%), ‘개별화 저수준, 디지털 고수준’(한국 22.9%, 미국27.9%), ‘개별화 고수준, 디지털 저수준’(한국 22.8%, 미국 15.6%), ‘개별화 저수준, 디지털 저수준’(한국 43.4%, 미국 5.6%)의 4개 군집이 도출되었다. 국가별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한국은 읽기 교수법, 교사 협력, 디지털 활용 학교 정책이, 미국은 읽기참여독려 교수법, 개별화 전문성 계발, 학교평균 읽기 성취도 및 사회경제적 지위가 교사 군집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clusters of teachers' personalized and ICT-based instruction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to explore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se clusters. The K-means cluster analysis using PISA 2018 data identified four clusters: ‘High Personalization, High ICT Use’ (Korea 10.9%, U.S. 51.0%), ‘Low Personalization, High ICT Use’ (Korea 22.9%, U.S. 27.9%), ‘High Personalization, Low ICT Use’ (Korea 22.8%, U.S. 15.6%), and ‘Low Personalization, Low ICT Use’ (Korea 43.4%, U.S. 5.6%).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eaching methods encouraging reading participation and strategy, teacher cooperation, and school ICT policies significantly affected teacher clustering in Korea. For U.S. teachers, teaching methods encouraging reading participa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related to personalized instruction, and the school's average reading achievement and SES affected teacher clust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적시간워핑 거리에 기반한 온라인 학습행동의 시계열 군집분석
- 한국과 미국 교사의 개별화 및 디지털 활용 수업 특성 및 영향 요인 분석
- 다양한 군집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기반 군집분석 사례
-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고등학생 창의성 주요 예측변인 탐색: 랜덤 포레스트와 SHAP 적용
- Sparse group lasso를 활용한 서울 초ㆍ중등교사의 교사효능감 예측변인 탐색: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종단연구에서 공변량을 활용한 이질적 하위그룹 탐색 방법 비교
- 2단계 층화군집 계통표본추출 설계 사례: 학생맞춤지원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 고등학교 내신 평가의 성적 과대평가 가능성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기반 실증적 방안 탐색
- 수학교과에서 정의적 태도의 잠재계층에 따른 사교육 참여가 수업참여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Manual BCH 3-Step을 적용하여
- XGBoost를 활용한 일반고 고등학생의 자기관리역량 예측 요인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