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번역] 明代 袁黃 編著 『四書』의 朝鮮에서의 流傳과 意義

이용수  13

영문명
The Spread of the Ming Dynasty Yuan Huang's Editions of Confucian Classics in Korea and Its Significance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저자명
천이링(I Ling Chen) 김연주
간행물 정보
『동아한학연구』제14호, 132~168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어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두 종의 해외 유일본에서 출발하여, 袁黃 編著의 經書가 域外로 전해진 경로와 해외 소장 정황, 조선 문인의 해당 저술에 대한 태도, 그리고 袁黃 編著의 經書가 한국 경학에 미친 영향 및 의의 등에 관련된 문제에 대해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袁黃의 저작의 해외 流傳이 적어도 세 가지의 특별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첫째, 대부분 무역이나 구매를 통해 해외로 전해진 서적들과는 달리, 작자 본인이 직접 가지고 조선에 갔고, 그 이후에 다시 여러 경로를 거쳐 일본에 전해졌는데, 이는 고대 문헌의 전파과정 중에서 하나의 특별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왕실 서고의 소장 정황과 조선 문인의 담론 내용을 통해 조선후기에는 더 이상 朱熹의 주해를 고수하지 않았으며, 때때로 明淸의 새로운 학설에도 주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조선 후기 유학자들은 經說 주해에 있어 이미 주희의 『四書章句集註』의 설에 만족하지 못하였고, 沈守正의 『四書說叢』, 陸隴其의 『四書講義困勉錄』 등의 책들을 통해 『四書五經大全』 이후 명·청대의 새로운 학설을 받아들였으며, 袁黃의 학설도 바로 그 가운데 한 사례라는 것이다.

영문 초록

Taking the only two existing oversea copies preserved in the royal library of Kyujanggak (奎章閣)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s the starting point, this study explores Yuan Huang’s (袁黃, also known as袁了凡, Yuan Liao-fan) editions of Confucian classics from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the overseas spreading path, overseas collections, Joseon (朝鮮, old Korean Kingdom) literati’s attitude towards Yuan’s editions, and the influence and significance of Yuan’s editions on the Korean study of Confucian classics (韓國經學).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re are at least three significances in the overseas spread of Yuan Huang’s editions. Firstly, unlike most Chinese books that were circulated abroad through commerce or purchase, Yuan Huang’s editions were personally carried by the author himself to the Korean Peninsula and were further spread to Japan. This is a very special example in the dissemination of ancient documents. Secondly, from the collections of the royal library and the discussions of the Joseon literati, it can be found that Zhu Xi’s (朱熹) interpretations of Confucian classics had no longer been the only focus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e new theories in Ming and Qing dynasties also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Thirdly, no longer content with Zhu Xi’s Sishu zhangju jizhu(四書章句集註), after Sishu Wujing Daquan (四書五經大全), Korean Confucian scholars in the late Joseon period started to embrace the new theories in Ming and Qing dynasties, including Shen Shou-zheng’s (沈守正) Sishu shuocong (四書說叢), Lu Long-qi’s (陸隴其) Sishu jiangyi kunmianlu (四書講義困勉錄), and this study’s focus Yuan Huang’s editions.

목차

1. 서언
2. 袁黃과 그의 저술
3. 한국 문헌에서의 袁黃의 형상
4. 袁黃 編著 『四書』의 관련 문제
5. 결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천이링(I Ling Chen),김연주. (2020).[번역] 明代 袁黃 編著 『四書』의 朝鮮에서의 流傳과 意義. 동아한학연구, (), 132-168

MLA

천이링(I Ling Chen),김연주. "[번역] 明代 袁黃 編著 『四書』의 朝鮮에서의 流傳과 意義." 동아한학연구, (2020): 132-1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