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장려정책 분석
이용수 5
- 영문명
- Analysis of the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y in Chungcheongnam Do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신효영(Hyo Young Shin) 방은령(Eun Ryoung Bang)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3 No.4, 205~22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충청남도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출산장려정책의 내용, 출산장려정책 실시 전후의 출산율 비교, 앞으로 요구되는 출산장려정책의 내용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충청남도의 출산장려정책 수혜대상자 122명, 행정실무자 16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고,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발간한 관련 자료를 토대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각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장려정책 내용은 현재 경제적 지원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현재까지 각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장려정책은 출산율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혜자대상자․행정실무자 입장에서 요구되고 있는 출산장려정책은 경제적인 부담감의 해소보다 보육시설, 교육정책, 사회분위기와 같은 사회적 환경의 개선을 우선시하여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출산장려정책이 앞으로 효과가 있으려면 출산과 육아를 사회․국가적인 공공의 문제로 전환하는 데 초점을 두고, 보육비나 경제적 지원보다 출산과 육아에 적절한 사회적 환경으로의 개선이 요구됨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y of Chungcheongnam Do. For this study, I obtained data from references published by 16 regional administrations of Chungchungnam Do, 122 beneficiaries and 16 local official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y in Chungchungnam Do is to provide financial aid to families with more than one child.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irth-rate before and after the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y. Third, 122 beneficiaries and 16 local officials required improvements in the social environment to encourage childbirth. That is, they wanted high quality public care, standardized public education, and a social atmosphere encouraging marriage and childbirth rather than financial aid. In conclusion, regional administrators have to raise funds to provide greater financial aid to households with more than one child, expand childbirth coverage, and provide childcare and education subsidies to famil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정위탁보호 아동의 심리적 적응
- 청소년기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 결혼이주여성 남편의 가족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 집단미술치료가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시설청소년의 자립 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모가 인지한 또래관계의 어려움이 있는 초등학생의 관계향상을 위한 정서행동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 유아 셀프 리더십 척도 개발과 보육현장의 적용 가능성 탐색
- 보육교사의 역할갈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장려정책 분석
-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거취선택에 관한 근거이론 접근
- 가족치료 과정에서 발생한 내담자 부모의 저항에 대처하는 치료자의 개입방법에 관한 연구
- 가족친화제도에 대한 기혼 남성의 요구도 실태조사
- 스트레스와 가족탄력성이 여성 한부모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효과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정신장애인 지역사회전환시설의 성과 및 개선방안 연구
- 성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발달장애 청년의 사회활동 참여가 미래계획 수립에 미치는 영향: 자립 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