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데이트폭력 피해의 위험요인
이용수 32
- 영문명
- Risk Factors of Physical and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in Dating Relationship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신혜섭(Hye Seop Shin)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2 No.2, 149~1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8.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데이트폭력 피해의 주된 대상자인 여대생 428명을 대상으로 데이트폭력의 피해의 위험요인을 분석하였다. 위험요인은 개인요인, 학교요인, 관계요인, 태도 요인, 가족요인에서 추출된 12 변수를 고찰하였다. 신체적 데이트폭력 피해의 위험요인은 학교요인, 관계요인, 태도요인, 가족요인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학교요인 중 학업성취도, 관계요인 중 교제기간, 갈등이며 폭력에 대한 태도, 가족요인 중에는 부모의 결혼유지여부가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업성취도가 낮고 교제기간이 길며 남자친구와 갈등 정도가 심하고 폭력에 대한 태도는 허용적이고 부모가 결혼을 유지하지 않은 경우가 데이트 관계에서 신체적 폭력을 당할 위험성이 가장 높은 경우이다. 성적 데이트폭력 피해의 위험요인은 관계요인, 태도 요인, 가족요인이다. 구체적인 변수로는 관계요인 중 갈등이고, 폭력에 대한 태도, 가족요인 중 성장기 부모로부터의 폭력 경험이다. 따라서 남자친구와 갈등 정도가 높고 폭력에 대한 태도가 보다 허용적이며 성장기 부모로부터 폭력 경험이 많은 경우가 성적 데이트 폭력 피해의 위험성이 가장 높은 경우이다. 관계 갈등과 폭력에 대한 허용적 태도는 공통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위험요인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이 데이트 관계에서 겪는 갈등을 다루는 기술에 대한 교육과 대화의 방법, 비폭력적 행동규범과 태도의 형성에 강조점을 두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of physical and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in dating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428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studied. The risk factors of physical violence victimization were ‘attitude toward violence,’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relationship duration,’ ‘grades’ and ‘the intactness of the product family’. The risk factors of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were ‘attitude toward violence,’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and ‘physical aggression by parents in childhood’. Overall,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and ‘attitudes toward violence’ played important roles in physical and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in dating relationships. However, contrary to the findings of some previous studies, ‘witnessing parental violence’ was not a significant risk factor in either physical or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while ‘physical aggression by parents in childhood’ was a risk factor only for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and policy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아동 가족중심실천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 가정의 사회적∙물리적, 심리적 환경 변인과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성향간의 관계
- 원가족의 정서분위기, 결혼만족도 및 부모역할 자신감이 유아기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 위탁가정 특성, 위탁가정의 가족 및 사회적 지지와 위탁아동 특성에 따른 위탁부모의 양육효능감
- 치매노인의 주간보호시설 이용 전후에 따른 주부양자의 부양경험 비교연구
- 데이트폭력 피해의 위험요인
-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자기효능감과 죽음불안에 관한 연구
-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북한이주민 가족의 사회적응과 가족관계의 변화
- 아동학대 잠재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중재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