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치매노인의 주간보호시설 이용 전후에 따른 주부양자의 부양경험 비교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Caregiver Experience for the Demented Elderly by the Use of Daycare Center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이혜자(Hae Ja Lee) 박경애(Kyung Ae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2 No.2, 45~6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8.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질적연구방법인 심층면접을 통해 치매노인의 주간보호시설 이용 전과 비교하여 이용 후에 사회적 지지의 원천, 부양의식, 가족관계에 있어서 주부양자의 부양경험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으며, 이러한 변화를 가져온 구체적인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해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목적이다. 이를 위해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해오고 있는 65세 이상 치매노인의 주부양자 10명을 심층 면접하였다. 분석결과, 최종적으로 42개의 하위개념, 20개의 하위범주와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부양자들은 노인부양의 원조를 가족들에게만 매달려오던 것에서 벗어나, 치매노인의 주간보호시설 이용을 통해 가족외부(사회복지사, 자조모임, 각종 서비스)로 눈을 돌리게 됨으로써 부족했던 사회적 지지를 보충할 수 있게 되는 긍정적인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부양자들은 그동안 가급적 노인을 집에서 가족이 돌보는 것이 최선이라는 부양의식에서 벗어나 주간보호시설과 같은 가족외적 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방법이 될 수 있음을 깨닫게 된다. 셋째, 주부양자들은 치매노인의 주간보호시설 이용을 통해, 치매노인과의 관계나 부부(자녀)관계가 좋아지게 되는 긍정적인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경험과는 달리 몇 가지 부정적인 경험도 나타났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경험을 이해하는데 보다 깊이 있는 자료를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서비스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An in-depth interview research and qualitative methodology was used to find changes in the experiences of primary caregivers by the use of daycare centers for the senile elderly. Using 10 subjects, the following points were evaluated in detail. First, I looked at what kind of changes in the caregiving burden these subjects experienced after working at a senile-elderly daycare center, and what the specific, underlying reasons for the changes in their caregiving experience were.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42 sub-concepts, 20 sub-categories and three categories were extrapolated. The three categories were 'source of social support,' 'consciousness of caregiving' and 'family relationship.'Generally, the primary caregivers, after using an adult daycare center, manifested a positive change, as they were able to offload some of the burdensome workload of caregiving. An important factor in this change is the use of public resources such as adult daycare facilities that operate outside of the circle of each respective patient's family. These facilities provided the primary caregiver with rest, lessened the heavy burden of caregiving and provided a way to lessen family feuding over the issue of caring for elders by providing inexpensive service. The following specific factors were the main mediating factors for using such a facility: meal service, vehicle service, caregiver education, caregiver consulting and other services, social support from social workers and dementia family group, and low financial burde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아동 가족중심실천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 가정의 사회적∙물리적, 심리적 환경 변인과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성향간의 관계
- 원가족의 정서분위기, 결혼만족도 및 부모역할 자신감이 유아기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 위탁가정 특성, 위탁가정의 가족 및 사회적 지지와 위탁아동 특성에 따른 위탁부모의 양육효능감
- 치매노인의 주간보호시설 이용 전후에 따른 주부양자의 부양경험 비교연구
- 데이트폭력 피해의 위험요인
-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자기효능감과 죽음불안에 관한 연구
-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북한이주민 가족의 사회적응과 가족관계의 변화
- 아동학대 잠재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중재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