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정의 사회적∙물리적, 심리적 환경 변인과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성향간의 관계
이용수 4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amo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Variables on Adolescents' Internet Game Addiction Disposition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최명선(Myung Seon Choi) 최태산(Tae San Choi) 안재영(Jae Young An)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2 No.2, 5~2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8.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가정의 사회적ㆍ물리적 환경과 심리적 가정환경의 하위변인들이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게임중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변인들 중에서 가정의 환경과 관련된 변인들을 분류하였다. 연구대상은 초ㆍ중ㆍ고 학생 339명이었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t-test,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사회적ㆍ물리적 환경 하위변인으로는 모와의 동거여부, 부의 게임이용여부, 형제ㆍ자매 유무에서 게임중독성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심리적 환경의 하위변인 사랑, 자유, 친밀도, 존중, 부모존경, 칭찬, 이해, 행복 등 8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었으나 사회적ㆍ물리적 환경의 하위변인은 게임중독성향에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가정의 사회적ㆍ물리적, 심리적 환경 변인은 전체적인 게임중독성향을 15%를 설명하였다. 가정의 심리적 환경이 사회적ㆍ물리적 환경보다 청소년의 게임중독성향에 민감하게 작용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과 발달단계에 따라 살펴본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물리적, 심리적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여학생은 가정의 사회적ㆍ물리적 환경보다 심리적 환경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또한 가정의 사회적ㆍ물리적, 심리적 환경은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에서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ocial and physical home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variables on adolescents' Internet game addiction disposition. For this purpose, relevant variables of Internet game addiction were categorized as home environment trait-related variable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subjects were 339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way of a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ocial and physical home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on Internet game addiction disposition based on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whether or not the subjects were living together with their mothers, whether or not their fathers also played games and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brothers and sisters. Second, a significantly discriminative correlation was obtained based on all of the eight subordinate variables on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but it was not obtained based on the social and physical home environment on Internet game addiction disposition. Third, physical and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variables explain 15% of Internet game addiction disposition. Adolescents' Internet game addiction disposition was sensitively operated based more on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variables than on their social and physical home environment. Fourth, regarding gender and developmental stage,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tendency to be affected by soci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s than male students, and females also showed a higher tendency to be affected more by their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than by their social and physical home environment. Lastly, the soci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was shown to affect high school students more than middle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아동 가족중심실천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 가정의 사회적∙물리적, 심리적 환경 변인과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성향간의 관계
- 원가족의 정서분위기, 결혼만족도 및 부모역할 자신감이 유아기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 위탁가정 특성, 위탁가정의 가족 및 사회적 지지와 위탁아동 특성에 따른 위탁부모의 양육효능감
- 치매노인의 주간보호시설 이용 전후에 따른 주부양자의 부양경험 비교연구
- 데이트폭력 피해의 위험요인
-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자기효능감과 죽음불안에 관한 연구
-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북한이주민 가족의 사회적응과 가족관계의 변화
- 아동학대 잠재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중재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