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이용수 37
- 영문명
- Effects of a Reality Therapy Group Program for Improving the Self-Esteem and Marriage Satisfaction of Migrant Women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이무영(Moo Young Lee) 강기정(Ki Jung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2 No.2, 29~4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8.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국제결혼이주여성의 한국에서의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C시에 위치한 이주여성을 위해 한국문화 적응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센터 프로그램에 참여한 각각 6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현실요법 집단프로그램은 2006년 10월 13일부터 11월 10일까지 주 2회씩 60분씩 총 10회 진행되었다. 자료분석은 Rog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와 Roach의 결혼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한 후 독립표본 t 검증, 대응표본 t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그와 관련한 몇 가지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요법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에 변화가 있는가를 검증한 결과, p<.05 수준에서 현실요법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실요법 집단프로그램은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현실요법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변화가 있는가를 검증한 결과, p<.05 수준에서 현실요법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에서 본 집단프로그램을 통하여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가 향상 되는 효과가 입증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후 국제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서비스 개입 방안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예측해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rough a test conducted on six married migrant women, this study tested the effects of a reality therapy group program in improving self-esteem and marriage satisfaction in order to help them adapt to Korean society. Rogenberg's self-esteem scale and Roach's marriage satisfaction scale were used for data analysis, before and after testing were condu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single t-test and a paired t-test. The following findings summarize the study results.
First, from the preliminary test on self-esteem and marriage satisfaction, the test group and comparison group showed the same quality, with no differences noted between groups. Second, the results of testing on the changes in self-esteem by migrant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reality therapy group program show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changes in self-esteem for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reality therapy group program with the level of p<.05. Therefore, the reality therapy group program can be said to have positively changed the migrant women's levels of self-esteem. Third, the results of testing on the changes in marriage satisfaction by the migrant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reality therapy group program showed that there were changes in levels of marriage satisfaction for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reality therapy group program with the level of p<.05. Therefore, the reality therapy group program can be said to have positively changed the migrant women's levels of marriage satisfa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아동 가족중심실천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 가정의 사회적∙물리적, 심리적 환경 변인과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성향간의 관계
- 원가족의 정서분위기, 결혼만족도 및 부모역할 자신감이 유아기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 위탁가정 특성, 위탁가정의 가족 및 사회적 지지와 위탁아동 특성에 따른 위탁부모의 양육효능감
- 치매노인의 주간보호시설 이용 전후에 따른 주부양자의 부양경험 비교연구
- 데이트폭력 피해의 위험요인
-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자기효능감과 죽음불안에 관한 연구
-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북한이주민 가족의 사회적응과 가족관계의 변화
- 아동학대 잠재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중재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