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
- 영문명
-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Parenting Stress of the Handicapped Infant's Mother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이미옥(Mi Og Lee) 김갑숙(Gab Sook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2 No.2, 129~14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8.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대구광역시에 있는 장애아 전담 어린이집에 유아를 등원시키고 있는 7명의 어머니이다. 집단미술치료는 2006년 8월부터 12월까지 주 1회 2시간씩 장애아 전담 어린이집에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Abidin(1983)이 개발, 개정한 양육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Index / Short Form : PSI/ SF, 1990)를 이귀원(1996)이 수정하여 사용한 양육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집단미술치료 실시 전, 후 그리고 추후의 양육스트레스의 차이검증을 위하여 Wilcoxcon Ranks Sum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장애 유아어머니의 전체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유아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하위요인인 부모의 고통, 부모-아동 간 역기능적 상호작용, 아동의 까다로운 특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in decreasing the rearing stress of a handicapped infant's mother. The study subjects were seven mothers who were sending their handicapped infants to a public nursery for the handicapped in Daegu, Korea. The program lasted from August to December of 2006, with a total of 10 once-a-week sessions, each lasting 120 minutes, in the 000 Public Nursery for the Handicapped. Research tools used for the study were from the Measurement Scale for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PSI/SF).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the Wilcoxcon Ranks Sum test was applied to the pre-test, post-test and following test of the PSI/SF.
The results bas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decreases rearing stress related to parental distress. Second, group art therapy decreases rearing stress related to parental-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It also decreases the stress from raising a difficult child. Finally, group art therapy has an effect on the changes of the mother's actions that may be due to stre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아동 가족중심실천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 가정의 사회적∙물리적, 심리적 환경 변인과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성향간의 관계
- 원가족의 정서분위기, 결혼만족도 및 부모역할 자신감이 유아기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 위탁가정 특성, 위탁가정의 가족 및 사회적 지지와 위탁아동 특성에 따른 위탁부모의 양육효능감
- 치매노인의 주간보호시설 이용 전후에 따른 주부양자의 부양경험 비교연구
- 데이트폭력 피해의 위험요인
-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자기효능감과 죽음불안에 관한 연구
-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북한이주민 가족의 사회적응과 가족관계의 변화
- 아동학대 잠재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중재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