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Support Project for Specialized Community Child Centers : Insights from Practitioners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김민주(Minjoo Kim) 이진숙(Jin Sook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30 No.3, 341~36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service providers regarding the support project for specialized community child centers. Methods: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15 staff members from community child centers and 3 public officia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matically. Results: Firs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target population and scale of support across local governments, with the majority of the budget allocated to personnel expenses. Second, the project faced challenges due to restrictive criteria outlined in the manual, insufficient funding to reflect the specialized nature of the services, and a lack of concrete implementation guidelines. Third, participants emphasized the need to expand the project’s target population, incorporate tailored support for children with specific needs, and secure specialized personnel.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several policy recommendation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ized guidelines at the national level,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operational strategies aligned with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recruitment and training of specialized staf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posing strategies to enhance the role of community child centers within the public child care system.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3호 목차
- 어린이집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 이후 변화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 특성별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 - FGI 조사를 통한 관계자 의견 탐색
- 신중년 여성의 커뮤니티 활동 경험 분석 - Giorgi 현상학적 연구방법론 적용
- 부모의 원가족 경험이 부부갈등의 유형을 통해 아동 불안에 미치는 영향부부갈등의 매개효과
- 연령집단별 사회복지사의 삶의 질의 영향요인 분석 - Alderfer의 ERG이론을 적용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주의집중 문제와 학업무기력, 사회적 위축의 순차적 다중매개효과
-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과의존에 대한 부모 미디어 리터러시의 영향 - 부모 미디어 중재 및 미디어 활용 정서조절의 다중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3호 목차
- 어린이집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 이후 변화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 특성별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 - FGI 조사를 통한 관계자 의견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