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델파이 조사를 통한 탐정의 업무 범위에 관한 연구
이용수 54
- 영문명
- A study on the scope of work of detectives through Delphi Survey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조상현(Sang Hyun Cho)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3券 第2號, 139~16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탐정제도는 OECD 가입 국가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제도이지만, 한국에서는 탐정제도가 법률적으로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에 찾아보기가 쉽지 않았다. 하지만 2020년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의 개정에 따라 탐정은 영리활동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탐정과 관련된 법률이 제정되지 않아 탐정이 어떠한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탐정이 수행해야 할 업무를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탐정 업무에서 있어서 문제시 되는 부분과 미래에 대한 추이를 예측할 수 있기에 가장 적합한 연구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전문가 8명을 대상으로 탐정 업무 그리고 탐정제도의 도입에 따른 주요 쟁점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탐정의 업무는 가출한 아동 및 청소년 그리고 실종자 등의 소재 확인이 주요 업무로 제시되었으며, 국민안전 및 공익침해 사실 조사 등이 추가로 조사되었다. 또한 탐정제도는 허가제로 운영이 되어야 하며, 관리감독 주체는 경찰청, 자격여부는 국가공인자격증, 교육기간은 경찰청에서 위탁으로 3~6개월 정도의 교육기간이 필요하다고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탐정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정책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detective system is a common system in OECD member countries, but it is not easy to find in Korea because the detective system is legally prohibited. However, with the revision of the 「Act on Use and Protection of Credit Information」 in 2020, detectives are now able to engage in commercial activities. Even though profit-making activities have become possible, in reality, no laws related to detectives have been enacted, and discussions about what kind of work detectives should perform are constantly being raised.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verify the tasks that detectives must perform through a Delphi survey. Delphi research can be said to be the most appropriate research method because it can predict problematic areas and future trends in detective work. In this study, major issues related to the work of detectives and the introduction of the detective system were identified among eight peopl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ain task of a detective was to identify the whereabou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ran away from home and missing persons, and additional tasks such as factual investigation were presented as additional tasks.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detective system should be operated under a permission system, with the National Police Agency as the subject of management and supervision, nationally recognized qualifications as the qualification, and a training period of about 3 to 6 months entrusted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Based on these results, we attempted to suggest a policy direction for the detective syste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민간경비학회보 第23券 第2號 목차
- 소년사법의 실천방안
- 학업중단경험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SNS 폭력가해에 미치는 영향
- 자치경찰과 민간경비의 협력방안 연구
- 다중이용시설 시설경비의 테러대응 실태조사 연구
- 남녀경찰관의 성격요인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
- 부모와의 애착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 이상동기 범죄의 유형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지문자동검색시스템 활용에 관한 발전방안 연구
- 영업비밀의 형사법적 보호와 한계에 대한 고찰
- 델파이 조사를 통한 탐정의 업무 범위에 관한 연구
- 스포츠이벤트의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민간경비 운영 전략
- 산업기술 유출범죄 대응역량 강화방안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