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업중단경험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SNS 폭력가해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0
- 영문명
- The impact of SNS abusive behavior on the social labeling of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school dropout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er and parent attachment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김수민(Su Mi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3券 第2號, 85~11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업중단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SNS 관련 가해행동의 관계에 있어 또래애착과 부모애착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배경에 따른 선행연구에서는 낙인이론에 사회적 낙인감과 SNS 관련 가해행동, 비행과의 관계와 조절변수와 SNS 관련 가해행동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이 연구의 조절변수는 또래·부모애착으로, 범죄통제에서 애착요인을 중요시한 사회유대이론에 바탕을 두었다.
자료의 수집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업중단 청소년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은 SPSS 29.0을 활용하였다. 기초통계분석을 통하여 자료의 적합도와 변수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전개하였다.
분석결과 또래애착은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확인되지 않았지만, 부모애착은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청소년기의 일정 SNS 가해행동에 있어서 부모의 관심과 부모와의 관계에서 발생한 애착이 종속변수에 부(-)적인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청소년 비행 연구의 사각지대에 놓인 학업중단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 반복적 비행은 범죄로 이어질 수 있음에 따라 오늘날 특히 문제시 되고 있는 청소년의 SNS 비행을 종속변수로 두고 그 조절요인을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ought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s of peer attachment and parental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labeling and SNS-related offending behavior in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school dropout.
In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SNS-related offending behavior and delinquency was examined based on social labeling based on labeling theory and attachment based on social bond theor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s ‘School Dropout Youth Panel Survey’ was used to collect data, and SPSS 29.0 was used for analysis. Through basic statistical analysis, the suitability of the data and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were confirmed, and based on th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evelop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was confirmed for peer attachment, but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was confirmed for parental attachment. This means that when it comes to certain SNS offending behaviors in adolescence, parental interest and attachment arising from relationships with parents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It is important that this study targeted youth who dropped out of school, which is a blind spot in youth delinquency research, and that it analyzed youth's SNS delinquency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ts controlling factors, as repeated delinquency can lead to crim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민간경비학회보 第23券 第2號 목차
- 소년사법의 실천방안
- 학업중단경험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SNS 폭력가해에 미치는 영향
- 자치경찰과 민간경비의 협력방안 연구
- 다중이용시설 시설경비의 테러대응 실태조사 연구
- 남녀경찰관의 성격요인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
- 부모와의 애착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 이상동기 범죄의 유형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지문자동검색시스템 활용에 관한 발전방안 연구
- 영업비밀의 형사법적 보호와 한계에 대한 고찰
- 델파이 조사를 통한 탐정의 업무 범위에 관한 연구
- 스포츠이벤트의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민간경비 운영 전략
- 산업기술 유출범죄 대응역량 강화방안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