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시 읍·면·동 평생학습센터의 성장 과정과 주민생활권 기반 평생교육 발전 방안
이용수 412
- 영문명
-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Village Lifelong Learning Center in City A and the Concept of Village Lifelong Learning in a Residential Area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영(Ji Yeong Lee) 박성희(Seong-Hie Park)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제30권 제2호, 209~23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읍·면·동 평생학습센터의 확대로 장기 정책 목표와 체계적인 성과 관리의 요구도 커지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서 연구의 목적은 협력적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통해 읍·면·동 평생학습센터의 주민생활권 기반 평생교육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문제는 A시 읍·면·동 평생학습센터는 어떻게 성장하였는가? 주민생활권 기반 평생교육의 발전 방안은 무엇인가? 이다. A시 읍·면·동 평생학습센터는 비전과 목표가 공유되지 않아 주민이 교육에 저항하는 태동기, 주민자치와 평생교육이 경쟁하고 갈등하는 난관기, 평생교육협의회를 구성하고 주민생활권 기반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집중하는 도전기, 주민생활권 기반 학습하는 공동체 문화조성이란 과제를 도출하는 탐색기로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생활권 기반 평생교육의 발전 방안은 거시적 측면에서는 지속 성장을 위한 상향식 교육구조의 개혁, 메조 측면에서는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네트워크 조성과 지원을 통해 지역의 연대감 확대, 초고령화사회·다문화사회에서 3세대가 함께 살아가는 마을 조성, 환경 보호, 지역의 사회적 자본이 주민의 삶의 질 향상으로 연계되도록 다양한 네트워크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미시적 측면에서는 지역 특색 교육 개발을 위한 시민정신의 함양과 의식의 전환을 위한 교육 경영 전략으로 제3의 공간, 평생교육방법과 평생교육사의 역할 전환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develop lifelong learning center in City A and development Plan for lifelong learning in Everyday life. The research questions are: How did the lifelong learning center in City A grow and what are the ways to develop lifelong education plan in Everyday life? It was found that the lifelong learning center of City A grew from an embryonic stage where residents resisted education due to lack of shared vision and goals, to a challenging stage where the lifelong education council was formed and focused on develop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s based on everyday life, and to an exploratory stage where the task of creating a community culture of learning based on everyday life was identified. In terms of how to develop lifelong education for the residents, based on everyday life, the researchers suggested reforming the bottom-up education structure for sustainable growth on the macro level, expanding local solidarity through networking and support for solving community problems, creating villages where three generations live together in an super aging and multicultural society, protecting the environment, and activating various networks to link local social capital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On the micro level, the third space was proposed as an education management strategy to foster citizenship and change consciousness for the development of localized lifelong education.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분석
III. 연구 방법 및 A시의 사업 개요
IV. 읍·면·동 평생학습센터의 성장 과정 분석
V. 주민생활권 기반 평생교육 발전 방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의 지도와 유아의 미디어 규칙 준수의 관계에서 미디어 조절력의 매개효과: 2023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 데이터를 중심으로
- 유아 자아탄력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유아 디지털 놀이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