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을공동체 주민 (재)생산 과정에 나타난 학습관리장치 분석

이용수  256

영문명
An Analysis of Learning Management Apparatus in Resident (Re)production for Community Building: Focusing on 'Bombyeot Maeul'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이경림(Kyunglim Lee)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제30권 제2호, 101~13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마을공동체 주민 (재)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학습관리에 개입하는 요소의 관계를 학습관리장치로 분석하여 학습관리장치가 지닌 공간적 성격을 파악한다. 학습관리장치는 인간 학습활동에 개입하는 언어적/비언어적 요소들의 네트워크로, 학습자를 특정한 주체로 조건화한다. 이때, 학습관리장치의 네트워크로서의 성격은 학습자 주체화를 평생학습 이론 작업의 공간 축에서 포착할 수 있게 한다. 이 연구에서는 대안교육을 실천하는 마을공동체 ‘봄볕마을’을 사례로, 학습관리에 개입하는 학습관리장치 변화를 분석했다. 봄볕마을의 주민 (재)생산 학습관리는 마을공동체가 처한 조건에 따라 변화했다. 이때, 학습관리에 개입하는 담론, 제도, 조직, 실천 단위 등 요소, 그리고 요소 간 배치의 변화가 학습관리의 변화를 추동했다. 즉, 학습관리장치의 변화에 따라 집단의 학습자 조건화 실천 양상이 달라진 것이다. 학습관리장치를 이루는 요소와 배치에 주목하는 접근은 학습 맥락의 가변성과 유동성에 주목하며 학습자 예속과 그 실패에 대한 기존 설명을 정교화한다. 이는 평생학습의 공간 축을 파악하는 이론적 도구로서의 학습관리장치에 대한 논의를 확장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 of the learning management apparatus, a network of elements influencing learning within a community, in the context of community development. The learning management apparatus is a network of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elements that intervene in human learning activities, conditioning learners as particular subjects. The networked nature of the learning management apparatus explains the subjectification of learners through the lens of lifelong learning, focusing particularly on its spatial dimension. The case study focuses on “Bombyeot Maeul,” which practices alternative education. The learning management of “Bombyeot Maeul” adapts according to the community's evolving conditions. Changes in elements and their arrangement such as discourses, institutions, organizations, and practice units, drive changes in learning management. In other words, the conditioning of learners evolves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learning management apparatus. An approach focusing on the elements and arrangements that constitute the learning management apparatus highlights the variability and fluidity of the learning context, refining explanations of learner subjectification and failure. This expands the discussion on the learning management apparatus as a theoretical tool for grasping the spatial dimension of lifelong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봄볕마을의 학습관리
Ⅴ. 봄볕마을 학습관리장치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림(Kyunglim Lee). (2024).마을공동체 주민 (재)생산 과정에 나타난 학습관리장치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30 (2), 101-136

MLA

이경림(Kyunglim Lee). "마을공동체 주민 (재)생산 과정에 나타난 학습관리장치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30.2(2024): 101-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