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패턴의 구조를 강조한 2학년 규칙 찾기 수업의 효과
이용수 44
- 영문명
- The effect of instruction for second graders emphasizing the structure of patterns in the finding rules unit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방정숙(JeongSuk Pang) 김리나(Leena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27권 제2호, 257~27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에게 패턴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규칙 찾기 수업을 재구성하여 지도한 후, 학생들의이해가 어떻게 향상되었는지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두 학교에서 각각 한 학급의 학생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재구성한수업 실행 전과 후에 패턴에 대한 이해를 평가하는 사전 검사와 재구성한 수업 이후의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각 학교에서 추가적으로 한 학급씩을 비교 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패턴에 대한 이해를 측정하는 문항중 패턴의 다양한 구성 요소와 배열 형태 및 변화 양상 찾기, 패턴 간 구조 비교하기, 패턴의 특정한 항을 추측하고 이유 설명하기 유형에서 재구성한수업의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저학년 규칙 찾기 수업에서 패턴의 구조와 관련된 활동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how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patterns improved after the lessons of finding rules were reorganized and taught to second graders to emphasize the structure of patterns. Students from one class in each of the two school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given a pre-test to assess their initial understanding of patterns and a post-test after the reorganized lesson were administered. One additional class from each school was selected as a comparison group, and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reorganized lesson was effective on the following items: finding multiple components, arrangements, and changes in patterns; comparing the structures between patterns; guessing the specific terms in patterns: and explaining why. Based on these results, 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helping lower elementary students under- stand the structure of patterns through the finding rules unit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재학교 학생의 GeoGebra를 활용한 과정 중심 평가 수행과제 탐구
- 2007 개정부터 2022 개정 초등수학 교육과정까지 수와 연산 영역의 성취기준에 포함된 수행동사에 대한 분석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연구
- 2015·2022 개정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 분석을 통한 평가 문항 방향 탐색
- 예비교사의 미분 단원에 대한 교과 내용 지식(SMK)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개발 방안 모색
- 학교 수학의 수학 독서 지도를 위한 실행 방안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7권 제2호 목차
- 패턴의 구조를 강조한 2학년 규칙 찾기 수업의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