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개발 방안 모색

이용수  473

영문명
A study on exploring strategies for developing digital literacy using generative AI: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based on ChatGPT
발행기관
한국학교수학회
저자명
신보미(Bomi Shin) 류경민(Kyoung Min Ryu) 김경용(Kyeong Yong Kim) 강성모(Sungmo Kang) 주재은(Jaeeun Joo)
간행물 정보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27권 제2호, 151~17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개발에서 생성형 AI가 지닌 잠재성에 주목하여 중·고등학교 수학 수업에 활용 가능한 ChatGPT 기반 수학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생성형 AI를 활용한 수학 수업에서 개발 가능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 요소로 “정보처리와 생성”, “디지털 문제 해결”, “디지털 개념 형성”을 추출하고, AI 리터러시 개념체계에 비추어 “AI 활용”, “AI 분석”, “AI 창조”, “AI 비판적 평가”의 교수· 학습 단계를 설정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수학 교수·학습 자료 개발 틀을 구체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디지털 개념 형성”과“디지털 문제 해결”을 위한 수학 교수·학습 자료를 예각에 대한 삼각비, 벡터의 내적, 통계적 문제 설정, 명제의 참과 거짓을 다루는 수업에서 활용할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체화한 자료 개발 틀과 교수·학습 자료는 생성형 AI를 수학 수업의 교수학적 도구로 활용하는 데 주목하는 연구자와 교사에게 의미 있는 시사를 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the potential of generative AI in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and aimed to develop ChatGPT based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middle and high school mathematics classes. To this end, we extracted “information processing and generation”, “digital problem solving”, and “digital concept formation” as components of digital literacy that can be developed in mathematics classes using generative AI, and we set the teaching and learning phases of “AI utilization,” “AI analysis,” “AI creation,” and “AI critical evaluation” in AI literacy conceptual system and then we specified the framework for developing mathematical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using Generative AI for cultivating digital literacy. Based on this, we developed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digital concept formation” and “digital problem solving” that can be used in mathematics classes dealing with trigonometric ratios for acute angles, dot products of vectors, stat- istical problem settings, and the truth and falsity of propositions. In this study, specified the framework for developing material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can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to researchers and teachers who are interested in using generative AI as a didactical instrument in mathematics class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보미(Bomi Shin),류경민(Kyoung Min Ryu),김경용(Kyeong Yong Kim),강성모(Sungmo Kang),주재은(Jaeeun Joo). (2024).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개발 방안 모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7 (2), 151-176

MLA

신보미(Bomi Shin),류경민(Kyoung Min Ryu),김경용(Kyeong Yong Kim),강성모(Sungmo Kang),주재은(Jaeeun Joo).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개발 방안 모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7.2(2024): 151-1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