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연구

이용수  417

영문명
A study on monitoring the implementation of high school mathematics and curriculum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발행기관
한국학교수학회
저자명
정경희(Kyunghee Jeong) 전영주(Youngju Jeon)
간행물 정보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27권 제2호, 107~12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교학점제는 미래 교육 환경 변화에 대비하고 학생의 적성과 진로에 따른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이러한 도입 취지에따라 학생 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적정성과 유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수학 교과목에도 해당된다. 이에 전북 일반계 고등학교 89개교의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교과의 과목별 교육과정 시수 편성과 고교학점제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89개교의 고교학점제 운영 담당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학교 현장의 고교학점제 운영 실태와 교육과정 운용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고교학점제 시행에서 학교 규모에 따른 차별 없이 수학과 선택과목에 대한 학생 선택권이 보장되어야 한다. 둘째, 수학과 교육과정을 편성할 때 수능과 입시에 맞춘 지나친 교과목 편성은 지양하고 학생들의 진로나 적성에 따른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해야 한다. 셋째, 고교학점제에 대한 학생, 교사, 학교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introduced to prepare for future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o pro- vide customized education according to students' aptitudes and career paths. In accordance with this purpose of introduction, it is very important to collect and analyze the necessary information to review the adequacy and usefulness of student-centered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This is also applicable to mathematics subject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course time allocation for each subject of probability, calculus, and geometry in 89 general high schools in Jeonbuk, as well as the current statu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operation. In addition, through interviews with teachers in charge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operation at 89 schools, we identified the actual condition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operation in school sites and the diffi- culties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operation. As a result, first, the student's right to choose mathematics and elec- tive courses should be guaranteed without discrimination based on school siz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econd, when organizing the mathematics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avoid excessive subject organization tailored to the SAT and entrance exams and organize and operate a curriculum according to students' career paths and aptitudes. Third, there is a need for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students, teachers, and schools abou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경희(Kyunghee Jeong),전영주(Youngju Jeon). (2024).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7 (2), 107-124

MLA

정경희(Kyunghee Jeong),전영주(Youngju Jeon).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7.2(2024): 107-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