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5·2022 개정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 분석을 통한 평가 문항 방향 탐색
이용수 315
- 영문명
- Exploring the direction of evaluation question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15·2022 revised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양성현(Seong Hyun Yang)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27권 제2호, 177~19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는 평가를 포함한 교수·학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차별적 해석은 오히려 학생들의 학습량을 증대시킬 수도 있으므로 교육과정 개정 시 변화된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에 대하여 보다 상세한 가이드라인 제시가 요구된다. 본고는 2015·2022 개정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을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 변화 중심으로 분석하여 학교 현장에서 교사가 평가 문항제작 시 유의할 사항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변화된 성취기준 관련 예시 문항을 제시하였다. 본고의 연구 결과는 2022 개정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평가 문항 제작을 위한 교사 연수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중학교 수학 교과서 집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A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is one of the factors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eaching and learn- ing, including evaluation. Teachers' differential interpretation of the curriculum may actually increase students' learning burden, so more detailed guidelines are required for changed 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when revising the curriculum. This paper analyzed the 2015·2022 revised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focusing on changes in 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summarized matters for teachers to keep in mind when creating assessment questions at school, and presented example questions related to the changed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this.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can not only be used as teacher training materials to create assessment questions based on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but can also provide implications for writing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변화에 따른 평가 문항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재학교 학생의 GeoGebra를 활용한 과정 중심 평가 수행과제 탐구
- 2007 개정부터 2022 개정 초등수학 교육과정까지 수와 연산 영역의 성취기준에 포함된 수행동사에 대한 분석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연구
- 2015·2022 개정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 분석을 통한 평가 문항 방향 탐색
- 예비교사의 미분 단원에 대한 교과 내용 지식(SMK)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개발 방안 모색
- 학교 수학의 수학 독서 지도를 위한 실행 방안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7권 제2호 목차
- 패턴의 구조를 강조한 2학년 규칙 찾기 수업의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