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hotograph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문원립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26호, 161~18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rdinary visual perception is always real-time. It is also active, which means that I can choose what and where to see. These two properties are not part of the concept of seeing, that is, they are not directly relevant to the question of what it is to see. And so the fact that photograph lacks the properties does not entail that it is not transparent. I argue, however, that the fact is the main reason why we feel reluctant to say photographs are transparent. I also argue that receiving optical image of the environment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seeing at least while the present laws of nature prevail.
목차
1. 서론
2. 사진의 투명성
3. 실시간
4. 공간지각의 능동성
5. 광학이미지
6.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제말기의 어용영화에 대한 논의
- 한국영화에서 보이스오버 내레이션의 논평과 목소리
- 일제말기 합작선전영화의 분석
- 현실과 감성을 넘어
- 김기덕 감독 작품 분석
- <그때 그 사람들>의 다의성과 리얼리즘의 정치성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역사에 대한 ‘문학적 상상력’으로서의 기억
- 그리너웨이(Peter Greenaway) 영화 <화가의 계약 The Draughtsman's Contract>에 나타난 실험영화적 특징과 미학 연구
- 1950~60년대 한일 청춘 영화 비교 연구
- 한국영화 간접배급구조에 대한 연구
- 임의 질서의 문화에 대한 고정 질서의 미학
- 나운규의 <아리랑>(1926)의 재구성
- 코미디 영화의 세 가지 존재 방식
- 2000년대 전반기 로맨틱 코미디영화의 인지전략 분석
- 포르노그래피와 여성의 성적 주체성
- 1970년대 여성영화에 나타난 공사 영역의 접합양식
- 사진의 지각과 일상의 지각의 차이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