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nalysis of Kim, Ki-Duck's styl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박철웅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26호, 183~20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Kim, Ki-Duk ,who directs 12 films from 1996, has been hot issued in Korea film industry and critics. Among those issues, The most critical one was sadomasochism in his works. However, his style on the works was not studied in detail, compared to the content. This theme 's mayor is the stylistic analysis of his works. Here, I divide his works to three period, the first one is the period which follows the classic Hollywood style, The second one is which the transitional period which change to a poetic language and the last one is the period of a poetic language. The works in first period have common-things, regarding to the creation of cinematic space, the use of props which bring in oneself's ruin and peeping as narrative tool, director's romanticism. I can find Kim,Ki-duk's careful attitude to a world in . He doesn't conflict with it anymore. In stylistic term, the cuts become larger and longer, the beauty of character's movements appears and the montage between image and sound just starts in the work. 's last sequence which characterized the cars with a parenthood is the beginning of a poetic language. The period of a poetic language is and . In , main character deletes by himself to get one‘s love and it represents director's mature attitude compared to previous works. The director show main character' attempt which try to disappear and finally make him disappear, but viewers believe that he is still in frame. It is very remarkable cinematic method which nobody try before. The main character sacrificed by himself in and it means that his behavior for pure love reaches to religious realm. This work is full of metaphor and the metaphor attains a higher level. Kim,Ki-Duk's work becomes mythological and poetic language at last.
목차
1. 들어가며
2. 〈악어〉부터 〈해안선〉
3.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에서 〈활〉
4. 세계관의 발전-주체의 대응방식 변화
5. 맺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제말기의 어용영화에 대한 논의
- 한국영화에서 보이스오버 내레이션의 논평과 목소리
- 일제말기 합작선전영화의 분석
- 현실과 감성을 넘어
- 김기덕 감독 작품 분석
- <그때 그 사람들>의 다의성과 리얼리즘의 정치성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역사에 대한 ‘문학적 상상력’으로서의 기억
- 그리너웨이(Peter Greenaway) 영화 <화가의 계약 The Draughtsman's Contract>에 나타난 실험영화적 특징과 미학 연구
- 1950~60년대 한일 청춘 영화 비교 연구
- 한국영화 간접배급구조에 대한 연구
- 임의 질서의 문화에 대한 고정 질서의 미학
- 나운규의 <아리랑>(1926)의 재구성
- 코미디 영화의 세 가지 존재 방식
- 2000년대 전반기 로맨틱 코미디영화의 인지전략 분석
- 포르노그래피와 여성의 성적 주체성
- 1970년대 여성영화에 나타난 공사 영역의 접합양식
- 사진의 지각과 일상의 지각의 차이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