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Youth Films of Korea and Japan in 1950's and 1960's: Concentrating on the Modernization and Nation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정수완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26호, 323~34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この論文は1950、1960年代という特別な時期に韓国と日本に青春映画という新しいジャンルが生まれた背景と両国において青春映画が持つ意味に関しての比較研究である。両国で青春映画が流行った時期は両国とも国家主導の近代化が活発に進んでいた時期であった。従って、近代化の産物である西欧の文化は青春映画のもっとも目立つ一つの特徴になる。しかし両国の近代化過程の差が両国青春映画にみる西欧文化の影響の差を作り出している。 5.16革命で政権をとったパクの政府は自分の政権を合理化するために以前の世代の伝統と価値よりは西欧の新しい価値を認める近代化に拍車をかける。しかし、4.19運動の失敗で挫折した青春映画の主人公である若者たちは革命政府が主導する近代化による西欧の文化を楽しむことが出来ない。韓国青春映画の主人公たちが都市に慣れないルンペンとか、労働者とか、やくざであるのはこのような韓国の近代化と国家との関係のなかで理解される。 これに対して日本の青春映画の中にみる近代の空間は敗戦とGHQの支配で挫折の経験を与えた父の世代に対する非難と批判が出来る空間である同時に、敗戦で自信をなくした日本の男性が男性性を回復する場所として、若者たちが近代を楽しめる空間である。従って日本青春映画での主人公たちが金持ちの父を持つ大学生であるのはそれなりの意味をもつ。 このように韓日の青春映画は同じ時期流行ったジャンルであるながら、両国の社会と政治の状況によって映画の中での近代と国家をめぐる違い談論を産み出しているのがわかる。これは韓国の青春映画が日本の青春映画の剽窃であるとか、その影響で作られたという今までの言説を、韓国の青春映画はそれが作られ、消費される韓国社会の時代的な欲望の生産物であるという新しい観点からみるようにする。
목차
1. 들어가며
2. 한일 청춘 영화의 탄생
3. 한일 청춘 영화 비교
4. 나가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제말기의 어용영화에 대한 논의
- 한국영화에서 보이스오버 내레이션의 논평과 목소리
- 일제말기 합작선전영화의 분석
- 현실과 감성을 넘어
- 김기덕 감독 작품 분석
- <그때 그 사람들>의 다의성과 리얼리즘의 정치성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역사에 대한 ‘문학적 상상력’으로서의 기억
- 그리너웨이(Peter Greenaway) 영화 <화가의 계약 The Draughtsman's Contract>에 나타난 실험영화적 특징과 미학 연구
- 1950~60년대 한일 청춘 영화 비교 연구
- 한국영화 간접배급구조에 대한 연구
- 임의 질서의 문화에 대한 고정 질서의 미학
- 나운규의 <아리랑>(1926)의 재구성
- 코미디 영화의 세 가지 존재 방식
- 2000년대 전반기 로맨틱 코미디영화의 인지전략 분석
- 포르노그래피와 여성의 성적 주체성
- 1970년대 여성영화에 나타난 공사 영역의 접합양식
- 사진의 지각과 일상의 지각의 차이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