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ornography and Female Sexual Subjectivity: Focusing on Feminist Debate around Pornography and Two Feminist Pornographic Text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주유신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26호, 397~42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relationship between feminism and sexuality has been all the time complex and scorching, and sexual arguments have become the keenest, theoretical and practical arena, as acute debates around various issues such as pornography, S/M, politically correct sex, heterosexuality and homosexuality, lesbianism and so forth are produced. Social and economical disadvantage in women has been connected to sexual exploitation easily assaulting women and women's unstable subjectivity to sexually fragile position as an object of fantasy and a signifier of exchange in malecentric sexual discourse. I will hereby explore the process of sexual debates over 20 years among feminists in the western and study how all of it is condensed and repeated in sex wars especially surrounding pornography. I will finally examine how women's sexual subjectivity appears through a couple of pornographic texts made by women directors, which make self-representation of women's body and sexuality possible through her own voices and eyes with breaking long silence and invisibility. Meanwhile Romance rains questions about woman's sexual experiences and senses and its political and psychological meaning, Erotique configures and proposes the significant issues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ity and fantasy, lesbianism and sexual pleasure with thoroughly feminist view. Both feminist texts tell us how the language of feminine desire can be created and what kind of women's sexual subjectivity it makes possible. The question of 'What is women's sexual subjectivity?' is,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issue of 'How can women's sexual pleasure and desire of sexual expression be rehabilitated and expressed?'.
목차
1. 여성/영화/섹슈얼리티라는 뜨거운 절합 관계
2. 페미니스트 성 정치학의 역사와 쟁점들
3. 포르노그래피를 둘러싼 페미니스트 논쟁
4. 두 편의 텍스트와 여성의 성적 주체성
5. 여성의 성적 주체성과 대안적 쾌락, 과연 가능한가?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제말기의 어용영화에 대한 논의
- 한국영화에서 보이스오버 내레이션의 논평과 목소리
- 일제말기 합작선전영화의 분석
- 현실과 감성을 넘어
- 김기덕 감독 작품 분석
- <그때 그 사람들>의 다의성과 리얼리즘의 정치성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역사에 대한 ‘문학적 상상력’으로서의 기억
- 그리너웨이(Peter Greenaway) 영화 <화가의 계약 The Draughtsman's Contract>에 나타난 실험영화적 특징과 미학 연구
- 1950~60년대 한일 청춘 영화 비교 연구
- 한국영화 간접배급구조에 대한 연구
- 임의 질서의 문화에 대한 고정 질서의 미학
- 나운규의 <아리랑>(1926)의 재구성
- 코미디 영화의 세 가지 존재 방식
- 2000년대 전반기 로맨틱 코미디영화의 인지전략 분석
- 포르노그래피와 여성의 성적 주체성
- 1970년대 여성영화에 나타난 공사 영역의 접합양식
- 사진의 지각과 일상의 지각의 차이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