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Technical Change of The Virtual Set and The Digital Studio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정환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37호, 61~8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cinema make the really non-existent things through the reproduction of the extremely realistic feelings, manipulates the mass society to construct the new reality of the images losing their meaning, acts as the element of construction the world of virtual reality and creates the image of illusion representing the age of simulacres. This illusionary expression of the cinema produces a new meanings and makes a total expression of masscult from the position nearest to our daily life. The digitalization and high-quality broadcasting and filming resulted in the big change in the visual culture. The visual image gradually developed over and over to induce the endless imaginative power and interest from the audience. Additional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computer and digital technology, the technique of the visual image increasingly made us survive both the actual and virtual world. The virtual studio in TV programs is now being utilized in a lot of genres such as the news, talk shows, documentary, weather report, election programs, biographical programs and the related fields are expanded more and more. The TV broadcasting through the cinema needs the improvement of the old visual image producing method and introduction of the strong visual expression through the digitalized special effects in order to attract the concerns of the audienc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for the virtual reality which supports the above, we can visualize the virtual world through the virtual studio in television and also we can feel the limitless imagination. The thesis was studied for the purpose to the understanding and base of the virtual studio and to be useful in the study on the virtual studio by summarizing and brief demonstrating the substance of the virtual studio through the pipe-line consideration in order to be recognized by a single sight about what sort of technology the virtual studio is, how it is created, how it is being developed, and how it is utilized based upon the represents data that have been used so far.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도 마살라 영화의 특징 분석
- <고려장>과 <나라야마 부시코>(1958, 1982)에 나타난 공동체 및 효(孝)에 대한 비교 분석
- 매체 다원화 시대 다큐멘터리 장르의 경계에 관한 연구
- 사이버소설 각색영화의 스토리텔링과 문화콘텐츠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영화제작에서 가상 세트와 디지털 스튜디오의 기술 변화 연구
- <8과 2분의 1>과 <바톤핑크>의 3막 구조 연구
- 디지털 시대의 문화적 실천과 영화
- 전 지구화의 대중문화, 한류 담론과 한국영화산업의 동아시아 진출
- 우리영화 심의제도에 대한 논의
- <맥베스>의 마녀 장면
- 북한영화의 탄생과 주인규
- 1910년대 전반기 식민지 조선에서의 활동사진에 관한 연구
- 한국영화 산업 클러스터 정책 연구
- <뮈리엘 혹은 회귀의 시간>에 나타난 기억의 연구
- 한국 영화비평의 정치적 무의식에 대한 연구
- 아방가르드 영화의 미학과 유희적 모더니즘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