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Boundary of Documentary Genre in the Multimedia Era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전평국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37호, 351~38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whether the term called 'documentary' is the target of scrap or not, and whether the mode called documentary is too old to have significance, amid the situation of dilemma in complicated and broad spectrum like modern times. The discussion is developed in a level of raising several problems that are possessed by the main concepts, which have historically dominated a discourse in documentary, and by the epistemology on documentary. The status, identity, and orientation in documentary are considered by inspecting the reality, which is the primary question, the mode and experiment of expressing this, and the division of boundary with fiction. It is now problematic clearly for the term called documentary to be used as a concept of including all the works such as variety and hybridity. Due to expansion in media such as digital technology and internet, numerous works, which cannot be measured on the basis of the norm or criterion for the existing traditional documentary, are creating and delivering reality in new dimension with the attempt in diverse modes and techniques. For instance, there are phenomena of emphasizing subjectivity rather than objectivity, the presence rather than revival, the emotional and private reality rather than social and public reality, and the simulacra rather than the subject of having the physical and indexical relationship with the actuality. These characteristics are attached more importance to the audiences' reaction and receptiveness rather than essential aspect in the work. In that sense, the documentary can be said to be the mode of reaction rather than one genre, method, and style. It is because this characteristic itself is one premise and value, too, in order for the documentary film to exist. In consequence, the documentary, as one category, is necessary and functions as important mechanism that expands and develops sphere and recognition on film.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불완전한 생명체: 다큐멘터리 원형으로서 출발과 전통
3. 리얼리티와 재현
4. 관습으로서 리얼리즘
5. 새로운 시선과 형식으로서 다큐멘터리
6. 다큐멘터리, 픽션: 객관성, 내러티브
7. 마치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도 마살라 영화의 특징 분석
- <고려장>과 <나라야마 부시코>(1958, 1982)에 나타난 공동체 및 효(孝)에 대한 비교 분석
- 매체 다원화 시대 다큐멘터리 장르의 경계에 관한 연구
- 사이버소설 각색영화의 스토리텔링과 문화콘텐츠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영화제작에서 가상 세트와 디지털 스튜디오의 기술 변화 연구
- <8과 2분의 1>과 <바톤핑크>의 3막 구조 연구
- 디지털 시대의 문화적 실천과 영화
- 전 지구화의 대중문화, 한류 담론과 한국영화산업의 동아시아 진출
- 우리영화 심의제도에 대한 논의
- <맥베스>의 마녀 장면
- 북한영화의 탄생과 주인규
- 1910년대 전반기 식민지 조선에서의 활동사진에 관한 연구
- 한국영화 산업 클러스터 정책 연구
- <뮈리엘 혹은 회귀의 시간>에 나타난 기억의 연구
- 한국 영화비평의 정치적 무의식에 대한 연구
- 아방가르드 영화의 미학과 유희적 모더니즘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