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cenes with Witches in Macbeth: Different Adaptations by Welles and Polanski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임왕태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37호, 301~3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rson Welles and Roman Polanski took quite different standpoints in adapting Shakespeare's Macbeth into movies. While Welles's extended the surreal world of the play, Polanski diminished its supernatural aspects and created a realistic world. This argument is clear when we have a close look at how the two directors adapted the scenes with witches that are genuinely supernatural. Welles increased the appearances of the three witches, and enlarged their grip on Macbeth destiny. Polanski, however, decreased their appearances and weakened their influence on Macbeth. This different stances they took concerning the witches resulted in two different tragedies. Welles's movie is a fate tragedy while Polanski's is a character tragedy. Welles's Macbeth is a hero who corrupts because of the external, supernatural force. In order to establish him as a victim by the witches, the director cut down much of Macbeth's asides during which the hero struggles between greed and conscience. His Macbeth is no longer a victim of his own vile ambition. On the other hand, Polanski's Macbeth is a hero who falls because of his vain desire to be king. In order to portray him as a victim of his own immoral character, the director let his Macbeth speak most of the asides during which the hero grows the fatal seed planted by the witches. In short, Welles's supernatural world of witches and their magic made his movie a fate tragedy while Polanski's realistic world of Macbeth's desire for power made his movie a character tragedy.
목차
들어가며
1. 셰익스피어의 〈맥베스〉에 등장하는 마녀부분
2. 웰즈의 〈맥베스〉에 각색된 마녀부분
3. 폴란스키의 〈맥베스〉에 각색된 마녀부분
4. 웰즈의 각색과 폴란스키의 각색 비표
나가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도 마살라 영화의 특징 분석
- <고려장>과 <나라야마 부시코>(1958, 1982)에 나타난 공동체 및 효(孝)에 대한 비교 분석
- 매체 다원화 시대 다큐멘터리 장르의 경계에 관한 연구
- 사이버소설 각색영화의 스토리텔링과 문화콘텐츠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영화제작에서 가상 세트와 디지털 스튜디오의 기술 변화 연구
- <8과 2분의 1>과 <바톤핑크>의 3막 구조 연구
- 디지털 시대의 문화적 실천과 영화
- 전 지구화의 대중문화, 한류 담론과 한국영화산업의 동아시아 진출
- 우리영화 심의제도에 대한 논의
- <맥베스>의 마녀 장면
- 북한영화의 탄생과 주인규
- 1910년대 전반기 식민지 조선에서의 활동사진에 관한 연구
- 한국영화 산업 클러스터 정책 연구
- <뮈리엘 혹은 회귀의 시간>에 나타난 기억의 연구
- 한국 영화비평의 정치적 무의식에 대한 연구
- 아방가르드 영화의 미학과 유희적 모더니즘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