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ctors' movement of the Liberation Period and Chosun Film Actors' Company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한상언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43호, 405~4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on the activities of Chosun Film Studio's actors who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actors' movement of Korean Liberation Period. When making of feature films had stopped right after the liberation, film actors started on movement. They were main members of Chosun Film Alliance, which became weaker because of the confrontations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as well as the suppression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Raising a hare in regard to post liberation issues such as the problem of pro-Japanese, they were involved in conducting campaigns in the name of Chosun Film Actors' Company. This movement ended when the 2nd US-USSR Joint Commission had ended without results and the suppression to the left had escalated. Important people in the film industry such as Moon Ye Bong defected to North Korea and worked there. Even though the leftist movement ended in failure, Lee Sung Man government of South Korea started to track down left wing opponents. All who had ever been participated in the leftist activities should turn themselves in, and reform their ideology joining the Federation Protecting and Guiding the Public. Actors and film makers who stayed behind in the South also joined the Federation. During the Korean War, however, the members of the Federation and actors who had collaborated with the North Korean occupying force were suppressed ruthlessly. As a result, many of them such as Dok En-Gi, Nam Seung-Min, Choi Un-Bong chose to defect to North Korea and appeared in propaganda films such as during the war. Others who had survived the suppression stayed in South Korean camp, for instance, Kim Il-Hae joined the South Korean military art company. In this period from the liberation to the war, the famous actors were not able to work in an independent way, but rather be forced by the nation and the regime They suffered from losing their independence under the name of the nation.
목차
1. 들어가며
2. 조영 소속 영화배우와 영화운동 조직의 변천
3. 조선영화협단의 설립과 공연물
4. 조선영화협단원의 민족영화론
5. 영화운동의 소멸과 국민(인민)되기
6.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밀양>과 소설 <벌레 이야기>의 서사 전략에 대한 비교 연구
- 유니버설 스튜디오와 디즈니랜드의 영화콘텐츠 활용연구
- 조선-만주 관광 문화영화와 ‘동아신질서’의 극장 경험
- 다큐멘터리와 아방가르드의 접점에서
-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사적 다큐멘터리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쟁점
- 구로사와 아끼라 영화의 마지막 결투 장면 연출 분석
- 한국영화산업 보호정책의 평가와 과제
- 해방기 영화운동과 조선영화협단
- 로베르 브레송과 다르덴 형제 영화의 유사성 연구
- 다큐멘터리란 무엇인가
- 문예영화 <안개>의 근대적 주체성 비판
- 이행적 친일영화(1940~1943)로서 <집 없는 천사>의 이중 의식에 대한 연구
- 중국의 한국영화 수용에 대한 연구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영화적 공간의 확장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