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Comparative for the Narrative Strategy of
(Lee Chang-Dong) and 『An Insect Story』(Lee Chung-Joon)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서정남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43호, 199~22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been started to examine the narrative strategy which is included in the movie directed by Lee Chang-Dong. Firstly, it comprehends the development of the cause-and-effect process of each event. Secondly, it contains embodiment of the characters who have caused, lead, and ultimately accomplished the events. Thirdly, it implicates creation of the suitable temporal, spatial, and geographical backgrounds. Fourthly, it comprehends every image and sound which is shown and heard by the audience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That is to say that inside and outside, and contents and form of the text become a matter of concern. With this intention, this study compares and examines which is the original short story, written by Lee Chung-Joon, of with the movie itself. Lee Chang-Dong has partly brought the events to his movie which are descripted in the novel, but wholely did the theme. He made the most of the theme, and the virtue of it. He has changed the point of view from the first-person view to the objective-observer view. In addition, he has established the background of the movie 'Miryang' which had been indefinitely treated in the novel. On the contrary of the novels, it is essential to choose spatial background and present it to the audience every moment in the movies. Actually, productive imagination of Lee Chang-Dong which generates symbolic implication of the place's name, Miryang, in relation to the theme of the text is preeminent. As the English title, Secret Sunshine, implicates, 'Miryang' has lead the level of completion of itself to the highest stage, jumping over the matter of space. In the novel, trauma of the mother who had losted her child and reactions which are caused by that are being shown with elaborate descriptions. However, it is regarded as one which considerably lacks facts and reality. By the 1980's in which the novel was published, there had not been any particular research or information about PTSD(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Resulted from that, the probability of the trauma and reactions that had been experienced by the main characters is considerably lacked even though they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novel. On the contrary, PTSD shown by heroine of the movie, Sinae, is depicted simply and significantly by Lee Chang-Dong. Through these strategies, the director is obviously showing us critic consideration of Weltanschauung in regard of the sins of human being, forgiveness, and salvation of the soul. In addition, beyond that lofty reflection, he is displaying us the mysterious and concealed secrets and the intention of salvation toward human being.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두 텍스트의 비교 분석
3. 이야기의 배경, 혹은 ‘밀양’의 함의
4. 주제의 변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PTSD)에 대한 표현 방식의 차이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밀양>과 소설 <벌레 이야기>의 서사 전략에 대한 비교 연구
- 유니버설 스튜디오와 디즈니랜드의 영화콘텐츠 활용연구
- 조선-만주 관광 문화영화와 ‘동아신질서’의 극장 경험
- 다큐멘터리와 아방가르드의 접점에서
-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사적 다큐멘터리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쟁점
- 구로사와 아끼라 영화의 마지막 결투 장면 연출 분석
- 한국영화산업 보호정책의 평가와 과제
- 해방기 영화운동과 조선영화협단
- 로베르 브레송과 다르덴 형제 영화의 유사성 연구
- 다큐멘터리란 무엇인가
- 문예영화 <안개>의 근대적 주체성 비판
- 이행적 친일영화(1940~1943)로서 <집 없는 천사>의 이중 의식에 대한 연구
- 중국의 한국영화 수용에 대한 연구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영화적 공간의 확장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