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ritical Inquiries into Modern Subjectivity in Mist: Focusing on the Medium Transformation and the Intervention of Critical Gaz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소연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43호, 55~7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Kim, Soo-yong’s literary film Mist(1967), adapting Kim, Seung-Ok’s novel The Foggy Town, is a rare case dealing with the contemporariness in the 60’sKorean urban society unlike his other literary films whose backdrops used to be some old rural towns in some old days.In that sense, this film should be considered as a good example of exposing the filmmaker’s perspective on the modernity and the modern subjectivity in depth and width. On condition that this film is based on the original novel and the adapter is the novelist himself, the most interesting and intriguing about this film is how the ‘reflexivity’ of the novel, which had been shared with most modernist novels in the 60’s in terms of the protagonists’ critical(-only) attitude against the modern life, was represented, or reconsidered. The point is that Mist was not just a copy of The Foggy Town but rather a critical revision of it and this revision was achieved mainly by the intervention of the critical gaze of the camera, or the filmmaker, namely, in very filmic ways. This achievement amounts to the ‘supplement’ in Derrida’s terms since the original ending of annihilating the short deviate experiences in Mujin, a pseudo-modern town, and returning to the modern world was undermined by some changes in narrative details and some filmic devices of looking at the protagonist: for example, the changed timing of the protagonist’s voice-over statement of “let’s be positive about Mujin just this once” and the suspicious framing in oblique angle of ending shots etc. In short, the film succeeded in radicalizing the novel's limited criticism against the project of modernity in the 60's Korea and the male (bourgeois) intellectual's cooperation.
목차
1. 들어가며
2. 1960년대 한국적 근대의 역사적 규정성
3. 〈무진기행〉: 총체적 현실 인식이 결여된 성찰의 서사
4. 〈안개〉: 성찰적 지식인을 재성찰하는 카메라의 응시
5. 〈안개〉: 주체의 분열, 혹은 근대의 분열
6. 나가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밀양>과 소설 <벌레 이야기>의 서사 전략에 대한 비교 연구
- 유니버설 스튜디오와 디즈니랜드의 영화콘텐츠 활용연구
- 조선-만주 관광 문화영화와 ‘동아신질서’의 극장 경험
- 다큐멘터리와 아방가르드의 접점에서
-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사적 다큐멘터리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쟁점
- 구로사와 아끼라 영화의 마지막 결투 장면 연출 분석
- 한국영화산업 보호정책의 평가와 과제
- 해방기 영화운동과 조선영화협단
- 로베르 브레송과 다르덴 형제 영화의 유사성 연구
- 다큐멘터리란 무엇인가
- 문예영화 <안개>의 근대적 주체성 비판
- 이행적 친일영화(1940~1943)로서 <집 없는 천사>의 이중 의식에 대한 연구
- 중국의 한국영화 수용에 대한 연구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영화적 공간의 확장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