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search on the similarity between the films of Robert Bresson and ones of Dardenne Brothers: focused on the directing style shown in the
and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민병훈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43호, 169~19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research dealt with the similarity between of Robert Bresson and of Dardenne Brothers. And the similarity shown in the films was clarified into four points. First, there exist characters with alienation and solitud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Mouchette and Rosetta resemble each other. They suffer from lack of family members and they hover outside the boundary of society, because they are excluded from the society. Also It is similar for them to choose suicide as the way of being free from the burden of life. Second, there is the independent sounds that are not combined with images. Bresson is famous for the directing style that the images are not combined with sounds. This style is reproduced in the films of Dardenne Brothers too. Especially the sound of running car and wind has independent meaning externally expressing complex psychology and inner landscape of Mouchette and Rosetta. The audience can be aware of the inner landscape of character through the sounds, the inner appearance can not recognizable by eye. The bell sound in the and gas sound in the can be interpreted as salvation from the christianity viewpoint. The scenes were expressed using the concentration of sound. Third, there is the expression of limited and scattered space. Bresson and Dardenne Brothers intensively focus on character when making films. So the space is used as the means to emphasize the inner landscape, emotion and psychology of character rather than to independently convey meanings. The audience can approach nearer through the meaning of space. Because in the film, the space only plays the role of place where the character exists regardless of its size - wide or narrow indoor space, the limited and scattered space is shown through camera rather than wide space. This expression of space makes the audience concentrate on the scenes and be identified with the character. Fourth, there is the use of props that reflect the landscape of character. Through the props, the audience became known about the trouble and conflict of character and could predict what they will choose. Because the inner landscape could be recognized through the props. Like these, many similarities between the films of Robert Bresson and Dardenne Brothers could be discovered.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밀양>과 소설 <벌레 이야기>의 서사 전략에 대한 비교 연구
- 유니버설 스튜디오와 디즈니랜드의 영화콘텐츠 활용연구
- 조선-만주 관광 문화영화와 ‘동아신질서’의 극장 경험
- 다큐멘터리와 아방가르드의 접점에서
-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사적 다큐멘터리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쟁점
- 구로사와 아끼라 영화의 마지막 결투 장면 연출 분석
- 한국영화산업 보호정책의 평가와 과제
- 해방기 영화운동과 조선영화협단
- 로베르 브레송과 다르덴 형제 영화의 유사성 연구
- 다큐멘터리란 무엇인가
- 문예영화 <안개>의 근대적 주체성 비판
- 이행적 친일영화(1940~1943)로서 <집 없는 천사>의 이중 의식에 대한 연구
- 중국의 한국영화 수용에 대한 연구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영화적 공간의 확장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