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 the Conjunction of Documentary and the Avant-Garde: Some Performative Reflections on the Performative Documentary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서현석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43호, 229~271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1
7,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is the recognition of drastic paradigmatic shifts in recent documentaries concerning the treatment of reality. Rather than observing, recording, mediating, or re-enacting reality, such films as Cech Dream and Eternal Frame prompt a specific situation for the very purpose of filming. This paper deals with such practices and interrogates their rhetoric and aesthetic implications by appropriating the concept of “performativity.”Since the concept of “performativity” has come to use in various fields, this study acknowledges the necessity for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In particular, it illuminates the “performative” documentary as an organic trajectory in which documentary and the avant-garde share the common motivation, namely to question the law behind the construction of reality. In order to fully explicate the rhetoric mechanism of “performativity,” I incorporate J. L. Austin's landmark study on the performative utterance and Judith Butler's political expansion of the term. By exercising in deceptively simple ways “détournement,” a common strategy developed in the avant-garde art since the 1970's, named performative documentaries tend to suspend a conclusive understanding of the world and produce hermeneutic rifts that unsettle the very working mechanisms of language within the capitalist system, which are precisely the functions of performativity. The importance of the performative documentary lies in its questioning of the very foundation and function upon which the concept of documentary has been fabricated.
목차
1. 서론: ‘현실’과 ‘창의성’
2. 다큐멘터리와 아방가르드, 멀고도 가까운 영역
3. 아방가르드 전략으로서의 다큐멘터리
4. 수행성의 언어철학적 기능
5. 수행성의 정치적 확장
6. 가변적 현실에 대한 가변적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밀양>과 소설 <벌레 이야기>의 서사 전략에 대한 비교 연구
- 유니버설 스튜디오와 디즈니랜드의 영화콘텐츠 활용연구
- 조선-만주 관광 문화영화와 ‘동아신질서’의 극장 경험
- 다큐멘터리와 아방가르드의 접점에서
-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사적 다큐멘터리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쟁점
- 구로사와 아끼라 영화의 마지막 결투 장면 연출 분석
- 한국영화산업 보호정책의 평가와 과제
- 해방기 영화운동과 조선영화협단
- 로베르 브레송과 다르덴 형제 영화의 유사성 연구
- 다큐멘터리란 무엇인가
- 문예영화 <안개>의 근대적 주체성 비판
- 이행적 친일영화(1940~1943)로서 <집 없는 천사>의 이중 의식에 대한 연구
- 중국의 한국영화 수용에 대한 연구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영화적 공간의 확장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