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ulture Contents Business in Hollywood: Universal Studios and Disneyland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민경원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43호, 141~16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terest in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is increasing. This study on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focuses on Universal Studios and Disneyland in Hollywood. This study starts with a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in these two cultural contents hubs, and expands its discussion of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to the perspective of producers. The researchers are aware of the conditions related to visual contents derivation and analogous situations.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get desirable benefits from only one source in the contents industry. Most producers adopt the strategy of producing products through various media. The most appropriate phrase with which to depict the above situation is ‘one source multi-use’ (OSMU). OSMU is a process that circulates a specific product in various media, and constructs and sustains positive im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s derivation structure in the motion picture industry. How is the contents derivation structure defined in Hollywood? How can such structure be modified and expanded using the analogy of an amusement park? Answers to these questions are looked up in related materials. A quantitative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know how OSMU is managed in the motion picture industry in Hollywood. First, the concept of OSMU and the window effect were modifi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substitutive and supplementary relations. Based on these relations and the compatibility of the products, OSMU was studied from multiple perspectives. A method of practical operation and promotion of the synergy effect of OSMU through Universal Studios and Disneyland was also discussed to explain the flow of the development and reorganization of cultural contents. This study points out the latest researches on the cultural contents business in Hollywood, particularly in Universal Studios and Disneyland. It analyzes how motion pictures’ OSMU strategy emerged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ple dimensions. In Hollywood, the word ‘OSMU’ is used and applied to diverse windows. This research examines how sub-category industries are dominated by Universal Studios and Disneyland. The OSMU strategy should accept all concepts related to the motion picture contents industry field.
목차
1. 들어가며
2. 할리우드(HOLLYWOOD) 비즈니스
3. 유니버설 스튜디오(UNIVERSAL STUDIOS HOLLYWOOD)
4. 디즈니랜드(DISNEYLAND)
5. 나오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밀양>과 소설 <벌레 이야기>의 서사 전략에 대한 비교 연구
- 유니버설 스튜디오와 디즈니랜드의 영화콘텐츠 활용연구
- 조선-만주 관광 문화영화와 ‘동아신질서’의 극장 경험
- 다큐멘터리와 아방가르드의 접점에서
-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사적 다큐멘터리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쟁점
- 구로사와 아끼라 영화의 마지막 결투 장면 연출 분석
- 한국영화산업 보호정책의 평가와 과제
- 해방기 영화운동과 조선영화협단
- 로베르 브레송과 다르덴 형제 영화의 유사성 연구
- 다큐멘터리란 무엇인가
- 문예영화 <안개>의 근대적 주체성 비판
- 이행적 친일영화(1940~1943)로서 <집 없는 천사>의 이중 의식에 대한 연구
- 중국의 한국영화 수용에 대한 연구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영화적 공간의 확장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