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Homeless Angel and Tower of Migaheri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이효인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44호, 251~27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Homeless Angel(1941) and Tower of Migaheri (1941) comparatively. These two films were produced at the same time in Korea and Japan. Homeless Angel(by director Choi In-kyu) and Tower of Migaheri(by director Shimizu Hiroshi) also dealed with orphans and social pariahs. The two movies has been recommended by the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but the recommendation of Homeless Angel has been canceled later. In spite of this fact, it could be speculated the relationship of the production of two films and the indirect support of policy makers in Japan. When the movies came out at the beginning of a world economic crisis, the Japanese militarist tendency openly revealed. The ethnic assimilation policies in Korea has been strengthened and the intellectuals and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was suppressed by Japanese Imperialist. This paper has the aspect on the policies and attitudes of two films that how two films have treated with orphans and social pariahs.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tries to find traces of resistance by director Choi through the analysis of Homeless Angel. As compared with the original scenario, there are many other points in film. In spite of this film was an outcome of the self-censorship, it also could be found some traces of resistance on this film as compared with changed part of the original scenario. Finally this paper has a conclusion that though Homeless Angel has the statement of resistance against Japanese on its own, it is a fact that can not be intrinsic resistance.
목차
1. 서론
2. 〈집없는 천사〉, 〈미가헤리의 탑〉의 제작 배경
3. 〈집없는 천사〉와 〈미가헤리의 탑〉의 구성 비교
4. 〈집없는 천사〉와 〈미가헤리의 탑〉, 근친성과 간극
5. 맺는 말, 〈집없는 천사〉의 균열된 서사에 대한 평가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아바타>와 지각의 문제에 대하여
- SF장르에서 공간 표현의 새로운 가능성
- 영화로 표현 된 공감(共感)적 감정 미학
- 대중영화를 통해 확인해보는 한국사회의 포스트모던적 징후들
- 엔딩 시퀀스 플래시백 연구
-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일식>과 ‘죽은 시간’의 모험
- 비극, 비판, 실험-하길종 영화를 이해하기 위한 세 코드
- <집없는 천사>와 <미가헤리의 탑みかへりの塔>의 비교 연구
- 1910년대 조선의 변사시스템 도입과 그 특징에 관한 연구
- 1960년대 영화, 여성의 소망이미지
- ‘文藝映畵’의 함의
- 최인규 영화의 불균질성
- 곡사 텍스트의 자기반영적 미학 스타일: 미장 아빔, 퍼포먼스, 상호텍스트성
- 본질 강화로 귀결되는 성형수술의 역설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