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중영화를 통해 확인해보는 한국사회의 포스트모던적 징후들

이용수  0

영문명
The Symptoms of Korea as a Post-Modern Society: focusing on Vietnam War Films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이승환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44호, 207~22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wants to show that the identity of Korea which is changing rapidly since mid 2000s is reflected in the popular films - focus on and . Fredric Jameson points out, especially the post modern society and the consumer society of the features you want to make sure the public is reproduced through the movie. Jameson, too, the distinction between modern era and post-modern era does talking about the position clear, but post-modern society and the consumer society has pastiche eclipses parady, the death of subject, and is Nostalgic mode. Of course, the use of his notion of post-modern, modern, is not a opposite side. His post-modern concept is not a simple concept. Particularly high art and popular culture, postmodern society is divided into the artistic trends of the modern consumer society and how they eventually change.

목차

1. 대중영화를 통한 과거 돌아보기
2. 이미지의 과도한 활용
3. 끝없는 대립
4. 과거에 대한 애정(?)어린 시선
5. 포스트모던 사회의 대중영화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환. (2010).대중영화를 통해 확인해보는 한국사회의 포스트모던적 징후들. 영화연구, (), 207-225

MLA

이승환. "대중영화를 통해 확인해보는 한국사회의 포스트모던적 징후들." 영화연구, (2010): 207-2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