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Paradox of Plastic Surgery Reinforcing One's Substance: 200 Pounds Beauty, Cinderella, Tim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선엽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44호, 33~6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Nowadays, plastic surgery is no more special events in the Korean society. Even one of the foreign presses, Financial Times, has reported in 2008 that it is generalized as a kind of accessaries in South Korea. There have been various and intensive arguments around this issue and trend, so pros and cons. The film industry responded to it and produced three films in 2006 dealing with their heroines who get plastic surgery due to different reasons : 200 Pounds Beauty, Cinderella, Time. All of them suggest some specific type of power relation judging a fluid or mutable identity through it. Especially 200 Pounds Beauty and Cinderella foreground bodies as an important stage where intersect social pressure making main characters get an operation as well as a criterion defining 'normal' or 'standard', and a personal desire reflecting his/her will to mainstream or high class's habitus at any risk. Meanwhile, Time focuses on ambiguousness and contradiction of one's identity in the most complex and dramatic way among three though is it's interest in mutable one through the operation relatively locked in a private sphere, so called obsessive love. However, despite thes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they revive the traditional belief about identity astonishingly similarly and reinforce it. All of them, in result, don't doubt or repudiate a fixed and eternal identity while emphasizing mutation through the operation which presumes a visible change in the first place; main characters with it are respectively punished as forms of humiliation, catastrophe and penalty. The core of anti-essentialism is a doubt of substance which originates from arbitrariness of the power in a specific time and space. For it defines and mystifies the essence not on the base of reasonable reasons but of it's own will. Unfortunately, all of the three don't suggest any potential alternative power or system at all. They rather underscore a tragedy, disorder or scandal restoring a 'real' and 'eternal' identit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고정적으로 내재하는 본질로서의 정체성 신화와 모순
3. ‘본질’에 대한 집착하는 귀결되는 영화 속 성형수술
4. 나가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아바타>와 지각의 문제에 대하여
- SF장르에서 공간 표현의 새로운 가능성
- 영화로 표현 된 공감(共感)적 감정 미학
- 대중영화를 통해 확인해보는 한국사회의 포스트모던적 징후들
- 엔딩 시퀀스 플래시백 연구
-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일식>과 ‘죽은 시간’의 모험
- 비극, 비판, 실험-하길종 영화를 이해하기 위한 세 코드
- <집없는 천사>와 <미가헤리의 탑みかへりの塔>의 비교 연구
- 1910년대 조선의 변사시스템 도입과 그 특징에 관한 연구
- 1960년대 영화, 여성의 소망이미지
- ‘文藝映畵’의 함의
- 최인규 영화의 불균질성
- 곡사 텍스트의 자기반영적 미학 스타일: 미장 아빔, 퍼포먼스, 상호텍스트성
- 본질 강화로 귀결되는 성형수술의 역설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