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Alfonso Cuaron's longtake style: Focusing on
,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박철웅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45호, 163~18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lfonso Cuaron started his career in Hollywood film industry, had successful debut with his first film (1991)that was based on Hollywood classical form and gained fame with his film that was consist of contemporary film's main characters like rapid speed editing, free range camera movement and simple storyline. Afer then, he begin to form his own style with cinematographer Lvezki on . That is longtake style. The longtake style is the style that early frontier like Orson Wells, Jean Renoir and Misikuzi Kenzi began to direct and arranged aesthetically by Andre Bazin. But, it's use have been reduced and Only certain art or independent film treate with it, nowdays. However, Alponso Cuaron dare to deal with it on his works. He developed his own longtake style based on traditional way. He followed the traditional longtake style in using frame depth and proceed the story by using of the layers of frame depth. In the same time, he created the continuous hand held longtake style which make spectators feel if they were in the frame and which complete editing by itself with ready_ made choreography. The longtake style is the spot that Cuaron has met in his way to develop his own style without staying his success in Hollywood. It is different from the other foreign directors who used to be talented, and now just followed the way Hollywood system demand, finally was exhausted.
목차
1. 서론
2. 할리우드 고전 영화 문법과 현대의 ‘심화된 연속성(Intensified continuity)’에서의 롱테이크
3. 알폰소 쿠아론의 작품연보와 스타일의 변화
4. [이투마마], [칠드런 오브 맨]의 롱테이크 설계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영화시장에 나타난 변증법적 현상의 지형도
- 알폰소 쿠아론의 롱테이크 미학
- 미국 개봉 한국영화의 문화 담론 연구
- <똥파리>에 나타난 민족지성(Ethnographicness) 고찰
- 미군정기(1945-1948) 외화의 수용과 근대성
- 알레고리 영화로서의 <마더>
- 파시즘과 눈물
- 디지털매체와 영화의 재설정
- 허진호 영화의 깊이 연출 연구
- 식민지 조선영화에 있어 근대성에의 욕망과 초민족적 경향에 대한 연구
- 일제말기 조선영화에 재현된 친일 협력에 대한 연구
- 일제하 카프 영화인의 전향 논리 연구
- 액션 스릴러 ‘본(Bourne)시리즈’ 연구
- 영화산업, 팬과 만나다
- 영화이미지를 향한 응시
- 작가의 주제를 투사하는 ‘장치’로써의 코미디
- 1950년대 외국 스릴러 장르의 한국적 수용양상
- 영화 <하녀>의 영상이미지를 통한 작품의 표현적 함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