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Cultural Discourse of Korean Films in U.S.A.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민대진 송영애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45호, 99~135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an answer to a question: “What kind of cultural discourse is present as result of recent openings of Korean movies in the U.S.?” In statistical perspective, the presence of Korean movies in the U.S. is minimal, yet. However, the interests of Korean film makers and audiences regarding showing of Korean movies in the U.S. are very high. In fact, some of Korean movies are introduced thru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nd various film markets. Recent Korean movies are being produced not only for the domestic audiences but also for international ones. Most Korean movies released in the U.S. are also as result of award winnings from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or domestic successes. Therefore, the recent U.S. opening Korean movies can be categorized in art movies or Hollywood style genre movies. This research deals with produced for the purpose of being released in the U.S. and ones already shown in the U.S. The reason is to aggressively find cultural discourses involved with those productions that aim at releasing in the U.S.. Also, this research predisposes that the cultural discourses do exist in various forms and processes. This paper does not intend to judge right or wrong but to peruse how various cultural discourses compete or co-exist in or out of the movies. Not only production processes like a uniqueness of narrative and purpose of a production but also marketing intention and method and responses of media has been analyzed and the result indicates that Korean movies which have been shown in the U.S. has not formed any significant cultural discourses. However, domestically,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industry-central cultural discourses and technology-central ones have been strongly present. Both discourses are involved with ‘patriotism,’ Instead of realistic analysis of the movies’ quality, patriotism and self satisfaction are prevalent and are the focus of the audience’s interest. Since visible results and self satisfying meanings of movies are stressed, the creative efforts for narrative itself tend to be slighted. The enhancement of identity of Korean movies in a long run seems a weak possibility when the effective and realistic efforts are overlooked. These are the reasons being pessimistic about releasing of Korean movies in the U.S. making any positive progress. It is questionable whether movies filled with origin indistinctive narratives can be recognized as a Korean movie. We must escape from just simply copying the Hollywood style genre movies.
목차
1. 서론
2. 영화의 문화 담론 분석
3. 미국 개봉 영화 〈디워〉의 국내 문화 담론 분석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영화시장에 나타난 변증법적 현상의 지형도
- 알폰소 쿠아론의 롱테이크 미학
- 미국 개봉 한국영화의 문화 담론 연구
- <똥파리>에 나타난 민족지성(Ethnographicness) 고찰
- 미군정기(1945-1948) 외화의 수용과 근대성
- 알레고리 영화로서의 <마더>
- 파시즘과 눈물
- 디지털매체와 영화의 재설정
- 허진호 영화의 깊이 연출 연구
- 식민지 조선영화에 있어 근대성에의 욕망과 초민족적 경향에 대한 연구
- 일제말기 조선영화에 재현된 친일 협력에 대한 연구
- 일제하 카프 영화인의 전향 논리 연구
- 액션 스릴러 ‘본(Bourne)시리즈’ 연구
- 영화산업, 팬과 만나다
- 영화이미지를 향한 응시
- 작가의 주제를 투사하는 ‘장치’로써의 코미디
- 1950년대 외국 스릴러 장르의 한국적 수용양상
- 영화 <하녀>의 영상이미지를 통한 작품의 표현적 함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