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desire to modernity and trans-localism of colonial period Chosun film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문재철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45호, 79~9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core principle of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was nationalism. In this regard it was inevitable that the films of colonial period were suffered the fate of deletion. But such a reaction would fall under the fantasy of homogeneity. This article does not intend to regard pro-Japanese state films of late colonial period as a mere accident. Rather it was the outcome of colonial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they followed their un/conscious desire constructed out of particular historical condition, namely colonial modernity, in volunteering for the production of pro-Japanese state films. The cooperation with the New system was itself a treason. However its historical meaning does not end there. In case of Chosun cinema, the treason eas part of the project to achieve modernity. it was cooperation with Japanese empire, and at same time, it was cooperation with the power named western modernity. It was given circumstance regardless of internal potential of Chosun film.
목차
1. 시작하며
2. 경향파 비평담론의 경우
3. 조선적 로컬리티 담론의 경우
4. 친일 국책영화 제작의 경우
5. 영화적 근대성 성취를 위해
6. 마치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영화시장에 나타난 변증법적 현상의 지형도
- 알폰소 쿠아론의 롱테이크 미학
- 미국 개봉 한국영화의 문화 담론 연구
- <똥파리>에 나타난 민족지성(Ethnographicness) 고찰
- 미군정기(1945-1948) 외화의 수용과 근대성
- 알레고리 영화로서의 <마더>
- 파시즘과 눈물
- 디지털매체와 영화의 재설정
- 허진호 영화의 깊이 연출 연구
- 식민지 조선영화에 있어 근대성에의 욕망과 초민족적 경향에 대한 연구
- 일제말기 조선영화에 재현된 친일 협력에 대한 연구
- 일제하 카프 영화인의 전향 논리 연구
- 액션 스릴러 ‘본(Bourne)시리즈’ 연구
- 영화산업, 팬과 만나다
- 영화이미지를 향한 응시
- 작가의 주제를 투사하는 ‘장치’로써의 코미디
- 1950년대 외국 스릴러 장르의 한국적 수용양상
- 영화 <하녀>의 영상이미지를 통한 작품의 표현적 함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