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rection Analysis of '3 Idiots' as Bollywood Film style's Model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이정국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3호, 191~22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rough my direction analysis of <3 idiots>, I wish to study the power and the basic principle of Bollywood movie style. First of all, The film <3 Idiots> is a 2009 indian comedy film directed by Rajkumar Hirani. He adapted it from the novel 'Five point someone: What not to do llT' written by Chetan Bhagat. It made a box-office success in Indian film history. The film is a kind of 'Masala Movies'. In this thesis, I emphasized on direction analysis of <3 Idiots> as Bollywood film style's model. In general the characteristics of Bollywood movies are vicarious pleasure, and entertainment, also escape from reality and Masala. <3 idiots> depicted its characteristics very well in film narrative and image. The theme is 'Do What You Love', The main character(3 idiots) are Rancho, Farhan and Raju who expressed their personalities very strongly in the film. The film mixed up various genre such as comedy, melodrama, mystery and musical effectively. The film can give various pleasure to movie watchers. The plot used flashback. It contributed to the story well. The main plot is the strong desire for freedom and dreams, while the subplot is love between Rancho and Pia. They harmonized perfectly. Above all, I think the major cause of the '3 Idiots' success was the outstanding direction of its director: good adaptation, outstanding depiction of character, refined editing and good cinematography. Lastly the good working harmony between its staffs and actors also played an important part.
목차
1. 들어가며
2. 발리우드 영화의 역사와 특성
3. <세 얼간이> 연출 분석
4. 마무리하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영균의 캐릭터와 연기 스타일 연구
- 저작권법 이용현황 분석에 따른 영화제작 환경의 효율적인 방안 연구
- 과거와 현실을 통한 臺灣의 정체성 찾기, 신전영(新電影, 1982-1996)
- 1910년대 경성의 극장과 극장문화에 관한 연구
- 영화 소개 프로그램의 사운드 전략 연구
- 박찬욱 감독의 국제적 평가에 관한 연구
- 영화적 개념의 탈영토화와 뉴미디어적 재영토화
- 카자흐스탄 최초의 무성영화 <켈린>에 재현된 고대 튀르크 전통과 텡그리(Tengri) 신앙
- 찬영회 연구
-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미학적 분석과 그 의미
- 에이젠슈테인의 몽타주 개념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
- 작가주의 영화이론의 새로운 가능성을 위한 시론
- 영화전공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 연구
- 발리우드 영화의 전형으로서 <세 얼간이> 연출 분석
- 1960~70년대 일본영화의 새로운 특징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