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character and acting style Shin Young-Kyun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신강호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3호, 139~16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e 1960s, concentrated in the early 1970s, during the activity period shin young-kyun own character and acting style of the settlement went by. And that movie works critical and commercial success enjoyed fueling the honor as top stars. Thick line, strong, somewhat charismatic inner smoke also unfold in the 1960s was a shin young-kyun star persona that represents the icon of the era was launched. In terms of the character in the movie as a star in the film's image shin young-kyun character in the sense that a perfect match with the characteristics of 'innate learning which might be called'. Crude and rough but reliable, but graduated from college so vividly expresses the excitement of masculinity will not be able to pay. Shin young-kyun's style of acting against the feelings of the bending takes place in that big and strong male role in implementing dramatic actor were unrivaled. On the other hand, he's strange, the Korean modernity exists in a variety of social, historic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tend to have put pay. He played the character in the movie unfold in a manner that shows the personality of its own unique social smoke pipes or movie is also about the outcome of his vision. In that sense, he was not his intention, regardless of the roles they end up with some way that contemporary society will be able to reveal the unconscious. Shin young-kyun persona of a star with the times, icons, and it soon studios Korea political, social, economic, cultural and art historical context, such as that point is not to have to be considered.
목차
1. 들어가며
2. 머슴, 떠돌이 사내
3. 문제적 인간으로서의 임금
5. 영웅, 비극적 영웅
6. 믿음직한 아들
7. 삼각관계에 헤매는 남자
8. 나가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영균의 캐릭터와 연기 스타일 연구
- 저작권법 이용현황 분석에 따른 영화제작 환경의 효율적인 방안 연구
- 과거와 현실을 통한 臺灣의 정체성 찾기, 신전영(新電影, 1982-1996)
- 1910년대 경성의 극장과 극장문화에 관한 연구
- 영화 소개 프로그램의 사운드 전략 연구
- 박찬욱 감독의 국제적 평가에 관한 연구
- 영화적 개념의 탈영토화와 뉴미디어적 재영토화
- 카자흐스탄 최초의 무성영화 <켈린>에 재현된 고대 튀르크 전통과 텡그리(Tengri) 신앙
- 찬영회 연구
-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미학적 분석과 그 의미
- 에이젠슈테인의 몽타주 개념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
- 작가주의 영화이론의 새로운 가능성을 위한 시론
- 영화전공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 연구
- 발리우드 영화의 전형으로서 <세 얼간이> 연출 분석
- 1960~70년대 일본영화의 새로운 특징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연구 제105호 목차
- 디지털 숏폼 시네마의 감각적 전환: 포스트-연속성과 플랫폼 디스포지티프
- 생기적 물질론으로 본 에코시네마의 물질적 전회: 하마구치 류스케의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