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미학적 분석과 그 의미

이용수  0

영문명
Interactive Documentary- Its Aesthetic Analysis and Meaning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박미선 이재준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53호, 63~8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ver the last few years, new documentaries have come to the world documentary circles. New media, also known as digitally-improved interactive documentaries, are the new players. Representative works are Out My Window, produced by the National Film Board of Canada (NFB) and directed by Katerina Cizek, and Prison Valley, produced by Arte TV and created by French journalists. The interactive documentaries have won a series of prizes in both documentary and media circles as they presented the future of documentaries.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onvergence of documentary and new media in Korea. What is interactive documentary? What are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m and how are they differentiated from others? What is the ground for calling them as documentary? If they could be called as documentary, what makes this possible? What characteristics do they share with documentaries and what differentiates them from documentarie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first step is to theoretically approach the budding cultural phenomenon, and an attempt to critically understand the documentary culture as a tradition. This study is valuable to discuss the future documentary culture that is filled with diversit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현상분석: 주요 작품을 중심으로
3.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개념적 특성
4.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미선,이재준. (2012).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미학적 분석과 그 의미. 영화연구, (), 63-87

MLA

박미선,이재준.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미학적 분석과 그 의미." 영화연구, (2012): 63-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